부산시는 오는 27일 오전 7시 20분 시청 1층 대회의실서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의 장세탁 특임연구위원을 초청하여 ‘대변혁의 시대, 神의 포석 전략은’ 이라는 주제로 올해의 마지막 ‘부산미래경제포럼’을 개최한다.
저성장 시대, ICT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제4차 산업 체제로의 개편 등 세계 경제환경은 선지자의 가이드 없이는 앞을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시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경제 사회 각종 분야의 최고 권위자를 초청하여 시대 트렌드와 관련된 강연을 제공, 포럼 참석자들의 경영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부산미래경제포럼’을 2015년부터 지난달까지 총 27회 개최해 왔다.
시가 주최하고 부산경제진흥원이 주관하는 ‘부산미래경제포럼’의 역대 주요 강연자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김석동 前 금융위원장,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 김준경 KDI 원장, 윤종록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 등이며, 주요 주제는 경제위기 진단, 변화전망 및 방향제시 9회, 제4차 산업혁명과 대응전략 4회, 글로벌 정세와 한미 중 일 동아시아 관계 8회, 기타 자동차산업 전망, 인재경영, 일자리, 기후변화 등 6회이다.
특히,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초청은 서병수 시장의 55 보급창 반환메시지를 트럼프 정부에 전달을 약속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낳았다.
경영자들을 위한 조찬 포럼이나 세미나는 이미 낯선 것이 아니다. 가깝게는 부산상공회의소의 ‘부산경제포럼’이 있고, 멀게는 삼성의 ‘수요 사장단 회의’, 현대경제연구원의 ‘현대리더스포럼’ 등이 있다. 이러한 포럼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최대 연회비 100만원 정도를 지불해야하지만 회원사들은 불확실성의 시대에 그 이상의 가치를 얻을 수 있기에 기꺼이 회원사로 가입한다.
가 마련한 ‘부산미래경제포럼’은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나, 최소한의 예산을 사용한 행사 운영으로도 각 분야 최고 전문가를 초청하여 그들이 축적해 온 혜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다시없는 기회를 제공한다.
시 관계자는 “2018년도 부산미래경제포럼의 추진 테마는 ‘통섭’”이라며, “그동안은 주로 경제분야에 집중되어있었던 주제를 확장하여 융합시대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인문 과학 예술 역사 등의 종합적 지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강연자를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