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학부모 10명중 9명 이상이 ‘학교 현장이 청렴해졌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교육청(교육감 김석준)은 지난 7월 13일부터 8일간 초․중․고등학교 학부모 2,204명을 대상으로 자율적으로 실시한 ‘청렴 분야 교육정책 모니터링’ 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 모니터링은 ‘모두가 함께 만드는 청렴한 부산교육’을 주제로 부산교육정책 모니터 홈페이지를 통해 15개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보다 학교 현장이 청렴해졌는지’에 대해 부산지역 학부모의 94.9%가 ‘그렇다’고 답해 부산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청렴문화 확산 노력이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렴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분야’에 대해 ‘현장학습․수학여행(27.2%)’, ‘학교예산편성 및 집행(23.0%)’, ‘학교급식(22.1%)’ 등 순으로 높았다. 이 가운데 현장학습 분야는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 청렴도 측정결과에서 9.42점(만점 10점)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청렴도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관장(학교장)의 실천의지(29.4%)’, ‘정책 및 사업정보의 투명한 공개(21.6%)’,부패행위자에 대한 엄중 처벌(18.6%)’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청탁금지법 시행이 청렴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97.7%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학교현장의 변화’문항에 대해서는 ‘학교 방문 시 선물 등 부담 감소(41.7%)’공직자와 불필요한 만남 감소(18.9%)’, ‘인맥을 통한 부탁이나 요청의 감소(12.7%)’등 순으로 나타났다.
또 ‘청탁금지법을 알게 된 경로’는 ‘학교 가정통신문과 SMS 문자’가 80.8%로 가장 높았고 ‘학교․교육청 행사를 통해’가 8.6.%로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부산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부패행위자에 대한 처벌 강화가 청렴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95.1%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아울러 교육부조리를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는 ‘교육감 직속 교육비리고발센터’가 청렴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도 92.2%로 높게 나타났다.
이일권 감사관은 “이번 모니터링 결과로 부산교육청의 청렴 정책이 학부모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도 학부모 등 교육가족이 부산교육을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부패행위는 강력하게 처벌하고, 청렴문화는 지속적으로 확산시키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