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배출허용 기준치 초과한 16건(3.6%)은 관할 행정기관에 통보해 시설개선 유도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부산시(시장 오거돈) 보건환경연구원는 14일 지난해 부산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총 449건의 대기오염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96.4%인 433건이 적합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부산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사업장 총 211개소에 대해 총탄화수소 염화수소 먼지 일산화탄소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 오염도를 검사했다. 그 결과, 총탄화수소 초과 12건 염화수소 초과 2건 먼지 초과 1건 일산화탄소 초과 1건 등 총 16건이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서구가 10건으로 가장 많았고 사하구 2건 사상구 2건 남구 1건 해운대구 1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서구에 도장시설이 많이 있고, 이들 도장시설에서 발생한 총탄화수소가 대기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는 기준을 초과한 시설에 대해서는 그 결과를 관할 구·군으로 통보해 시설 개선을 유도했다. 또한, 소규모사업장에 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의 규모를 지난해 47억에서 올해 118억 원으로 대폭 확대해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고,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부산지역의 대기질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특히 부적합률이 2.1%(11건)였던 지난해와 비교해서 올해는 부적합률(3.6%)이 다소 증가했으나, 이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검사가 강화되면서 일어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시 관계자는 “부산의 초미세먼지를 줄이고, 시민들의 건강한 생활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앞으로 자동차정비공장 도장시설에 대한 오염도 검사도 강화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안심하고 지낼 수 있는 대기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