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지금까지 부산지역에서 확인된 30여 곳의 성곽 유적을 사진자료 중심으로 소개하는 전시
한국디지털뉴스 정창섭 기자=부산시(시장 박형준) 복천박물관은 사진전 부산의 성곽을 4일부터 7월 25일까지 83일간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오해야항 목장성
이번 사진전은 부산박물관에서 간행한 학술연구총서 부산 성곽을 바탕으로 부산지역에서 확인된 30여 곳의 성곽 유적 및 관련 조사성과를 사진으로 소개하는 전시이다.
부산지역은 조선시대까지 국토방어의 최전선으로 수많은 성곽이 만들어졌다. 문헌자료, 지표조사 등에서 38곳의 성곽 명칭이 확인되며, 현재도 시내 전역에 걸쳐 삼국시대의 배산성을 비롯해 고려시대의 동래고읍성, 조선시대의 동래읍성과 경상좌수영성 등 31곳의 성곽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조선 전기부터 말을 사육하기 위해 쌓은 오해야항 목장성과 조선 후기의 전국 최대 길이를 자랑하는 금정산성은 아직도 옛 모습이 잘 남아있다.
전시는 먼저 패널 해설을 통해 한국 성곽의 개념과 구조, 특징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지역 성곽들을 축성 목적에 따라 산성과 읍성, 수군영성과 진성 등으로 나눠 각 성곽의 특징에 대해 두루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관람은 매주 월요일(휴관일)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할 수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방지 및 원활한 관람을 위해 사전예약제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사전 예약은 복천박물관 홈페이지(http://museum.busan.go.kr/bokcheon)에서 가능하다.
나동욱 복천박물관장은 “이번 전시는 부산에 산재한 많은 성곽 유적들을 한자리에서 둘러볼 좋은 기회”라며, “사진자료들을 살펴보며, 한반도의 관문이자 해안방어 요충지인 부산의 역사성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