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시 해역의 바다와 수산물 방사능 감시ㆍ분석 체계 운영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5일 부산의 바다와 수산물에 대해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방사능 감시분석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 8월 24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1개월이 흐른 시점에도 방사능 검사 분석결과 해수와 수산물이 ‘안전’하다고 밝혔다. 해수 방사능 안전성 검증을 위해 시 해역의 방사능 조사지점 23곳을 검사·분석한 결과, 오염수 방류 여부와 관계없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운대, 광안리, 다대포, 임랑, 일광, 송정, 송도, 고리원전, 오륙도, 대변(-가덕도 9월)ㅍ15분마다 해수 방사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 무인감시망 6곳에서도 방사능이 불검출돼 ‘안전’하다. 문중방파제, 국립수산과학원, 남천항, 수영만요트경기장, 국제여객터미널, 수산자원연구소 정부에서 감시하고 있는 시 해역 방사능 조사지점 7곳도 ‘안전’하다. 해양수산부 5개소, 원자력안전위원회 2개소는 시는 수산물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서도 수입 생산 유통단계마다 방사능을 꼼꼼하게 검사하고 촘촘하게 감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 수산물의 경우에도 오염수 방류 여부와 관계없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입단계에서는 일본 후쿠시마현 등 인근 8개 현에서 생산한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그 외 지역의 일본산 수산물은 수입 시마다 방사능을 검사해 조금이라도 방사능이 검출되면 수입을 차단한다. 수산물이 소비자에게 유통되기 전의 생산단계, 소비자가 구입하는 유통단계에서 올해 9월 15일까지 총 1천49건을 검사할 결과 모두 ‘안전’하다. 수산물 등 먹거리의 안전성을 빈틈없이 관리하기 위해 원산지 표시제 단속품목과 단속인원을 확대했고, 수입 수산물의 국산 원산지 둔갑을 방지하기 위한 유통이력 관리 대상 품목도 늘려가고 있다. 시는 부산의 바다와 수산물에 대한 안전정보와 방사능 감시 분석결과를 1천783개의 전달매체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박 시장은“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수ㆍ수산물 방사능 분석장비를 추가 설치하는 등 방사능 감시 분석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으며, 지금까지의 오염수 방류 대응체계가 앞으로도 빈틈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과학적 객관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된 수산물을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