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뉴스 이서영 기자ㅣ부산시(시장 박형준)는 4일 글로벌 허브를 선도하는 '아시아 TOP10 창업도시'를 비전으로 한 제2차(2024-2028) 기술창업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시 기술창업 지원 조례에 따라 기술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5년마다 수립하는 종합계획이다.기술창업의 현황, 여건 및 전망을 토대로 2024-2028년까지 기술창업 육성에 관한 정책 방향 및 목표를 수립한 것으로 향후 5년간 시의 기술창업 지원 정책의 방향타 역할을 하게 된다. 기술창업 지원 종합계획'은 부산을 '아시아 TOP10 창업도시'로 만들기 위한 이행안(로드맵)이다. 민관협력(거버넌스) 혁신 규모 확장(스케일업) 집중 투자생태계 강화 민간협업 기반 시설(인프라) 고도화 세계적(글로벌) 확장, 5대 전략에 21개 추진 과제를 포함해 2028년까지 1조 4천71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첫 번째 전략은 '민관협력(거버넌스) 혁신'으로 부산이 아시아 창업 중심(허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창업지원 정책구조를 혁신한다. 두 번째 전략은 '규모 확장(스케일업) 집중'으로 거대 신생(유니콘)기업 배출을 위해 신생 기업(스타트업)의 규모 확장(스케일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세 번째 전략은 '투자생태계 강화'로 수도권 중심의 투자 환경 극복을 위해 지역 주도 투자생태계를 조성하고 확충해 나간다. 네 번째 전략은 '민간협업 기반 시설(인프라) 고도화'로 민간이 이끌고 관에서 밀어주는 민간협업을 통해 창업 기반 시설(인프라)을 넓힌다. 다섯 번째 전략은 '세계적(글로벌) 확장'으로 세계적(글로벌) 창업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과 관계망(네트워크)을 구축해 지역 우수 창업기업의 세계(글로벌) 진출과 해외 신생 기업(스타트업)의 국내 진입을 지원한다. 박 시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원동력은 기술창업에 있으며, 수도권 중심의 불균형 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에서 도전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기술창업 선순환 생태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시는 거대 신생(유니콘) 기업을 배출하고 세계(글로벌) 진출을 지원함으로써 부산을 명실상부한 '글로벌 창업 허브도시'로 키워나가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