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뉴스 정영원 기자ㅣ부산시(시장 박형준)는 18일 산후조리원 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RSV) 발생 시 적절한 대응을 위한 산후조리원 RSV 발생 역학조사 안내서 를 제작했다. 산후조리원은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와 산모가 밀집한 장소로 감염병 집단 발생 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공간이다. 특히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RSV)은 0~6세 영유아의 발병확률이 높아 병원이나 산후조리원에서 집단 발병하는 사례가 많다. 시는 감염병 집단 발생 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산후조리원 RSV 발생 대응 안내서’를 제작했다. 이번에 제작한 대응 안내서는 16개 구·군 보건소 및 전국 시도에 배부됐다. 아울러, 시는 지난 14일, 구·군 보건소를 대상으로 대응 안내서의 내용 등을 비대면 교육했다. 한편,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은 급성호흡기감염증으로 제4급 법정감염병이며, 매년 발생하나 주로 10월에서 3월 사이에 유행한다.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RSV)은 전 연령의 사람들에게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생후 12개월까지의 영아 및 기저 질환을 가진 소아는 중증으로의 발전 위험이 높다”라며, “이번 안내서를 통해 감염병 대응 인력의이 강화돼 산후조리원의 감염병 대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뤄지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