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의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도심형) 조성사업' 공모에 도심형 사업자로 최종 선정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ㅣ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3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도심형) 조성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가상공간에 동일하게 반영해 3차원 모델로 구현한 뒤 현실과 동기화하고 분석해 실제 세계의 의사결정에 활용 ․ 지원하는 기술을 말한다.
시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 서비스 전문기관인 한국국토정보공사와 유관기관들과 함께 '부산광역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시민 안전 서비스 개발 및 국민 맞춤 생활환경 분석 서비스 등을 제안한 결과 '도심형'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국비 47억 원을 확보해 시비, 민간 투자 등 68억여 원을 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며, 2025~2026년에도 추가 국비 지원을 통해 향후 디지털 트윈 코리아 대표모델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2024 시범 구역으로 지리적 중심이자 원도심으로 많은 현안을 지닌 부산진구를 지정해 디지털 트윈 서비스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며, 2025년과 2026년에는 시범 구역을 확대해 매년 서비스모델 4종(총 12종)을 추가로 개발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6월 시는 과기정통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DPG),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컨소시엄 간에 착수보고회를 개최했고, 이후 부산진구 담당자 사업설명회를 통해 실무협의체 등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도시 부산을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박 시장은 “이번 공모 선정으로 추진하는 '디지털 트윈 서비스'는 안전하고 편리한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매력을 알릴 수 있는 기회로,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행복 도시 부산을 앞당기는 주춧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