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수송대책으로는 전세버스 200대 투입 도시철도(경전철 포함) 증편 택시 집중 운행 승용차 요일제 해제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ㅣ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는 28일 부산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 예고에 따라, 노사 간의 원만한 협상을 유도해 나가는 한편 파업에 이르게 되는 경우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말부터 부산 시내버스 노사는 11차례에 걸쳐 올해(2025년) 임금협상을 진행했으나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지난 12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했다. 지난 20일(1차), 26일(2차) 조정이 있었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었으며, 27일 3차 조정을 앞두고 있다. 노동조합은 3차 조정이 모두 결렬되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이에 시는 노사 간의 원만한 협상을 최대한 지원하고, 만일 파업에 이르게 되면 비상수송대책본부(본부장 시 미래혁신부시장)를 가동해서 비상수송대책을 즉시 시행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시는 비상수송 대책으로 전세버스 투입 도시철도, 부산 김해경전철 증편 택시 집중 운행 승용차요일제 및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일시 해제 등을 추진한다.
전세버스는 도시철도와 마을버스가 없는 지역을 위주로, 임시정류소에서 인근 도시철도역까지 승객을 수송한다. 46개 임시노선에 전세버스 200대를 투입해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하고, 요금은 무료다. 도시철도와 경전철은 출퇴근 시간을 1시간 연장(오전 7-9시-오전 7-10시, 오후 6-8시-오후 6-9시)하고, 평일 기준 도시철도는 50회, 부산․김해경전철은 10회를 증편 운행한다.
택시는 파업 기간 운휴 차량을 최대한 줄여 승객 운송을 늘리고, 버스정류소를 택시승강장으로 개방한다.
김광회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가능한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금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우리시는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다”라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으로, 시민 여러분의 양해와 협조를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