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는 4일 지속적인 경기침체로 취업난이 쉽게 풀리지 않자 올해 공공근로사업에 모두 24억원이라는 거액을 들여 서민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청년실업문제 해결에 힘쓰기로 했다.
먼저 일자리가 없어 생활고를 겪고 있는 서민층과 취업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일반공공근로사업에 15억1,000만원을 투입하고, 이와는 별도로 30세미만 미취업 청년층을 위해 8억6,500만원을 들여 청년취업센터 설립 등 청년실업 해소대책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저소득 취업취약계층의 공공일자리사업인 공공근로사업은 국토공원화를 위한 공원녹지관리사업, 꽃길.꽃동산조성사업, 중소기업인력지원사업 등 생산적인 사업을 우선으로 모두 47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공공근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분기별 4단계로 구분해 시행하기로 했으며, 1단계 사업으로 지난 2일부터 오는 3월25일까지 58일간 200명을 투입해 진행하고 있다.
올해 공공근로사업은 지난해와는 달리 공공근로 신청자격이 되는 1인 최저생계비가 41만3,000원에서 5,000원이 오른 41만8,000원이며, 임금도 단순실내 사무보조의 경우 1일 8시간 근무 기준으로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올랐다. 단, 보도블럭정비, 중소기업인력지원, 청년층대상사업 참여자는 지난해와 같은 2만7,000원의 임금을 받게 된다.
또한 중소기업 인력지원 대상기업도 지난해는 산업단지 이외의 지역인 읍.면지역만 해당됐으나, 올해부터는 산업단지도 적용돼 인력난을 겪고 있는 창원공단 내 중소기업에도 공공근로 인력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이와 함께 공공근로 청년대상사업으로 사진관리전산화, 시민정보화교육사업, 민원서류 출장배달제 등 25개 사업에 1일 88명의 인원을 투입해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 버스정보시스템 정보화사업에도 인력을 투입해 시민들의 전화민원서비스 안내와 버스 정류장 단말기 설치 현장점검, 차량 단말기 설치 등을 보조토록 해 시민편의 도모는 물론, 건강한 직업관을 갖도록 하고 있다.
청년 취업대책으로 기업체 신규채용 맞춤형사업과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에 각각 1억800만원, 청년장기실업자 취업지원대책에 3억9,000만원을 들여 취업난을 덜어주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