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중·소형 소각시설을 적극 정비해 나가기로 했다.
1995년 3월 쓰레기 종량제 시행 이후 급격히 늘어난 중·소형소각시설로 인해 다이옥신 등 대기오염물질 발생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사회적으로도 많은 문제점이 대두됐다.
시는 다이옥신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우려되는 노후·불량 중·소형 소각시설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후 소각시설 관리강화 및 자진폐쇄 안내문 발송, 시·구(군) 합동 지도점검을 통해 1999년 1,200여개의 중·소형 소각시설을 지난 3월 현재 51개소로 감소시켰다.
감소현황 99년 1,204개, 2001년 336개, 2003년 212개, 2005년 128개, 2007년 59개이다.
또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 (지난 2004년 8월 11일 )으로 소형 소각시설 보유업체는 다이옥신 측정 공인기관을 통해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측정을 올해 말까지 완료해야 하고, 약 500만원에 달하는 측정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노후 시설을 보유한 업체에서는 소각시설을 자진 폐쇄조치하는 등 중·소형 소각시설은 더욱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7.10월 소형소각시설 다이옥신 측정(2008년 말)에 따른 가동여부 전수조사 실시했다.
조사대상 69개소 : 계속 가동 25개소, 폐쇄 44개소 이다.
부산시는 폐기물관리법에서 정한 설치기준 및 관리기준 준수가 어려운 노후 소각시설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폐쇄를 유도하고, 계속 가동을 희망하는 소각시설에 대하여는 철저한 관리를 통하여 대기환경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쾌적한 도시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