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12일 도로상 사설표지판, 도로표지판 등에 대한 관리실태를 일제 조사한 결과, 무허가로 방치된 불법 표지판이 280여개소로 나타남에 따라 기존에 난립된 불법 표지판 등에 대하여는 관련법 규정에 의거 올 3월부터 행정절차를 통한 정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그 동안 무질서하게 설치된 2,600여개의 각종 사설안내표지판에 대해서 1단계로 가로등주 등에 단계적으로 통합 설치하고, 전국 최초로 가로등· 신호등·도로표지판 등 그간 도심지 도로환경 저해요인으로 인식되던 각종 개별 지주를 단일 지주로 통합(2단계)하는 표준 모델을 제시하여 올해 우선적으로 300여개소에 대하여 시범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통합 지주제(ONE POLE)를 추진하게 되면 연간 10억원 정도의 시설물 설치비가 절감될 것으로 기대되며, 기존 지장물의 도로(보도) 점용 최소화로 약 A=8,500㎡ 정도의 도로공간이 확보되는 효과와 더불어 도로표지 및 사설표지의 시인성을 150% 정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심지내 도로이용은 지방자치단체가 시민에게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행정 서비스임을 자치구·군에 재인식 시키고 시역내 연장 2,829km의 도로 기초 환경을 2010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각종맨홀, 사설안내표지판, 차량진·출입로 등의 정비를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추진하기로 하였다.
한편, 시 관계자는 사업추진 등에 따른 이해 당사자의 민원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도로이용이라는 다수 시민의 기본권을 찾아주는 측면에서 정비 시행에 따른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