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3일 최근 인천시의 국립 해양대 설립 의지와 관련, 대변인을 통해 분명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인천시가 정부의 국립대 정원감축 및 통 폐합 방침을 외면하고 새 국립대를 만드는 것은 한국해양대학교의 위상을 약화시키며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역갈등을 빚을 우려가 크다.
시는 동북아 물류허브도시로 성장하고 있는 부산과, 한국 해양전문 인력양성의 산실 역할을 다해온 한국해양대에 정부차원의 지원을 집중, 국제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 등에 따르면, 인천시는 최근 해양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해양대 설립을 추진하며, 송도국제도시나 영종지구에 기존 한국해양대학교와 비슷한 규모의 부지를 물색하고 있다.
인천시는 새 해양대 설립에 6천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보고, 올 상반기 중 정부에 대학 설립을 위한 국고보조금을 신청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인천시의 계획을 정부의 대학구조조정정책과 수도권 정비계획법에 역행하며, 가뜩이나 심각한 수도권 집중현상을 부채질하는 시대역행적 발상으로 보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제적 경쟁력을 갖고 있는 해양중심대학이며, 부산 역시 한국물류의 중심이 분명한 만큼 세계경쟁 및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해양연구 및 인력양성기능의 부산집중을 보다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에 따라, 국내 4개 주요 해양관련기관이 한국해양대학교 옆 부산 동삼 혁신지구(08년 4월 착공)로 이전을 서두르고 있는 만큼, 한국해양대를 신해양시대를 선도할 글로벌 해양중심대학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인천시의 국립 해양대 신설방침에 대해 한국해양대, 목포해양대 등도 공식적인 반대견해를 밝히고 나섰다. 한국해양대(총장 오거돈)는 세계적 경기불황 속에서 인천해양대를 신설하겠다는 것은 극히 비현실적”이라며, 국가차원의 해기사 인력수급계획부터 마련해 단일 해양대 체제로 정비하고 권역별 캠퍼스를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목포해양대(총장 신철호) 역시 만약 인천지역에 해양전문인력을 공급을 늘릴 필요가 있다면 기존 해양대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투자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인천시의 계획을 적극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