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남구 용호만매립지에 또다시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을 허용을 추진하고 있어 주민들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민주노동당부산시당 대변인 김동윤은 논평에서 시와 (사)부산국제건축문화제가 17일 용호만매립지 개발방안에 대한 국제공모전에서 지구단위계획을 74층 주거시설로 변경하는 설계작을 당선작으로 선정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공공성은 외면한 채 민간사업자들의 수익성 보장을 위한 시의 막가파식 개발 행정이 이어지고 있다. 시는 애초에 교통난 해소와 녹지 확대를 위해 용호만을 매립해 놓고선 지난 해 7월, 용호만매립지를 민간에 매각한 바 있다.
이에 인근 주민들을 비롯한 시민들이 반발하자 주거시설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나 또다시 이를 뒤집고 주거시설이 포함된 초고층 주상복합건물 허용을 추진하고 있다.
시민 공공의 재산을 공원조성 교통난 해소라는 명분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민간에 각종 특혜를 주어 매각한 다음, 도시계획위회라는 형식적 통과절차를 거쳐 주거시설을 허용하는 것은 이미 부산시의 대표적인 행정추진 방식으로 자리잡은지 오래이다. 해운대구 센텀시티의 WBC와 해운대관광리조트의 초고층 주거시설 허용이 비슷한 사례이다.
시는 용호만매립지의 주거시설 허용과 초고층화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
시민 공동의 이익을 외면한 채, 민간사업자들의 수익성 보장에 앞장서는 행정은 시민들의 지탄을 면치 못할 것이다. 허남식 시장과 시의 지긋지긋한 '개발지상주의 토건행정'이 부산의 미래를 가로막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