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사)한국해양산업협회가 공동으로 오는 22일 오후3시 시청 12층 국제회의장에서 신성장 동력산업인 해양플랜트산업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해양플랜트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관련 학계·업계 및 공무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플랜트산업 발전 방안’을 주제로 육성방향 및 과제, 추진전략 등에 대한 전문가의 주제발표 및 토론 등으로 진행한다.
특히, 최근 각 기관(지경부, 국토부, 부산시)에서 실시한 해양플랜트산업 분야별 현황 분석과 발전전략 연구용역 결과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것으로 여겨진다.
세계적으로 심해 석유 및 가스 생산증가에 따라 해양플랜트산업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해양플랜트산업을 6대 미래선도사업으로 선정하여 집중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부산은 해양플랜트관련 교육기관, 산업체 등 풍부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해양플랜트산업을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핵심사업으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토론회는 우리나라 해양플랜트산업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가의 의견 제시와 깊이있는 토론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진행은 이영활 시 경제부시장의 개회사와 이명관 부산일보 대표이사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강사준 한국조선협회 상무가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분석 및 장단기 발전전략 박광서 KMI 연구위원이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조효제 한국해양대 교수가 ‘해양플랜트 연구기관 실태 및 발전과제’를 제목으로 각각 주제 발표를 한다.
주제발표를 통해 강사준 상무는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의 경쟁력 분석결과에 따른 기술경쟁력 제고 전략과 전담지원체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 방안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박광서 연구위원은 글로벌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의 현황과 국내 해양플랜트서비스산업 발전여건을 설명하고 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게 된다. 끝으로, 조효제 한국해양대교수는 국내외 해양플랜트 연구기관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해양플랜트기술원 설립의 필요성을 역설할 예정이다. 이어, 김도영 홍익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김성범 국토해양부 선원정책과장, 홍석원 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 정광효 동의대학교 교수, 이경부 한국선급 팀장, 배재류 대우조선해양(주) 전문위원, 김난주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 신수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경남분원장이 패널로 참여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한편, 시는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설립, 국제해양플랜트 전시회 개최와 글로벌 기업유치 등을 통한 산업체 지원 전략을 마련하여 부산을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해양플랜트산업의 교두보로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가 핵심기자재와 설계기술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해양플랜트산업의 경쟁력을 갖추고 미래의 고부가가치 창출과 더불어 연관산업 동반성장의 견인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