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소방본부(본부장 이동성)는 오는 5월까지 산악 안전사고에 대비한 산악사고 대비 구조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이는 본격적인 봄 산행철을 맞아 등산인구의 증가 및 산악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됨에 따른 것으로, 주요 산악지역에 대한 순찰 강화 및 신속한 구급·구조태세 확립 등을 통해 시민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토 일요일 및 공휴일에 금정산 등 19개 주요 산악지역에 구조·구급대원 및 의용 소방대원으로 구성된 ‘등산목 안전지키미’ 200여 명을 배치한다. 이들은 산악사고가 잦은 39개 등산로에서 사고다발지역을 순찰하는 등 휴일을 이용해 산을 찾는 등산객의 안전 확보에 힘쓰게 된다.
또, 소방본부는 산악안전시설의 전년대비 5%증설을 목표로, 관할 구·군과 협조를 통해 안전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다. 그리고 주요 등산로 위험지역 내 위치표지판과 위험경고표지판을 설치·정비하고, 2차사고 방지 및 응급처치를 위한 간이구조구급함도 설치한다.
해당기간 동안 주요 등산로 입구에서 산악안전사고 예방수칙 및 행동요령’이 담긴 홍보물을 배포하는 등 산악사고 예방 캠페인도 펼쳐진다. 예방수칙 등은 관내 주요 등산로에 대한 정보와 함께 소방관서, 유관 기관·단체, 산악연맹, 산악동호회 등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한편, 지역 언론매체 등을 통해서도 널리 알려질 예정이다.
관할 소방서 및 구·군, 공원관리공단(사무소) 등이 함께 산악사고 위험지역의 현황, 노후화 상태, 안전성평가에 대한 합동평가에 나서는 한편, 지역별 안전시설 및 간이구조구급함 관리책임자 지정 사고다발 등산로 구간 유동 순찰 △폭우·폭설·한파 등 악천후 및 기상특보 발령 시 입산통제 등 등산객 안전조치 강화에도 적극 나서게 된다.
소방본부는 이 밖에도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신속한 구조태세를 확립하는 한편, 공단·경찰·민간산악구조대 등이 참가하는 합동 산악구조훈련도 4·5월 중에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부산에는 총 216건의 산악사고가 발생해 199명을 구조했다. 이는 2009년 261건(233명), 2010년 253건(217명)보다 감소한 수치로, 적극적인 산악사고 예방활동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소방본부는 산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하고 해가 지기 한두 시간 전에 마칠 것 나이, 건강 등을 고려하지 않은 과시성 산행을 자제할 것 배낭을 잘 꾸리고 손에는 절대 물건을 들지 말 것 산행 중 길을 잃었을 때는 계곡을 피하고, 능선으로 올라갈 것 산행 시 등산로 안내판, 이정표, 긴급구조 위치표지판 등을 기억할 것 등의 안전수칙을 숙지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사고 발생 시에는 당황하지 말고 등산로에 설치된 구조 위치표지판 번호를 숙지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신속히 주변 또는 119로 도움을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
시 소방본부 구조담당은 주 5일 근무 정착에 따른 레저활동 및 건강관리 등을 목적으로 한 산행인구가 늘어나고 산악 안전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는 만큼, 소방본부에서는 철저한 산악안전 종합대책을 통해 산악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고 안전한 등산문화 환경을 조성하는데 힘쓸 것”이라고 밝히면서, 시민들께서도 등산객들의 산악사고가 꾸준히 발생하는 만큼 입산 때 치밀한 산행계획을 세우고 안전사고 예방수칙을 숙지하셔서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