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오는 17일 오후 2시 부산 진해경제자유구역청 대회의실서 시민, 기업인, 관계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열어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해 온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해 수립한 부산연구개발특구육성계획(안)을 설명하고, 개발사업에 따른 사전환경성검토서(초안)에 대하여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부산연구개발특구육성계획(안)과 사전환경성검토서(초안)에 대한 주민공람이 지난 7월 27일부터 오는 22일까지 부산 진해경제자유구역청과 강서구청 등 6개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시는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하여 지난 5월부터 지식경제부, 시 및 관련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특구육성 특화산업으로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을 선정하고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 중심의 서부산권 일원을 연구개발특구로 육성하는 계획(안)을 수립했다.
부산연구개발특구는 국가 및 광역경제권 정책방향에 부합하고 지역의 첨단기업 역량과 대학의 우수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사업화 성과를 조기에 달성하는 데 필요한 지역을 대상구역(19.34㎢)으로 설정하고 이를 다시 4개 지구로 특화 발전시켜 나아갈 계획이다.
4개 지구를 분야별로 보면, R&D 융합지구는 대학 및 연구기관이 집적된 연구개발 허브 지역으로 특구내의 연구개발 성과를 집적화 하고 기업에 공급하여 성과창출을 촉진하는 지역이며 생산거점 지구는 녹산국가산업단지에 집적화된 기업체의 생산역량에 특구 내 공공기술을 공급하여 신기술 개발 및 산업생산성 증대와 고용창출 효과를 도모하는 지역이다.
사업화 촉진지구는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창출된 첨단기술기업을 집적시키는 특화산업 중심의 첨단산업지구로 개발하는 지구로써 지역의 제조업을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육성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첨단복합 지구는 R&D융합지구의 기능과 연구 및 비즈니스 기능과의 접목을 통해 R&D 기술사업화의 성과를 확산시켜 첨단산업지구의 기능을 넘어서는 테크노폴리스 개념의 혁신거점도시로 육성하게 된다.
이날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는 시 연구개발특구육성계획(안)과 사전환경성검토서(초안)에 대해 시와 용역업체인 세일기술(주)에서 설명하게 된다. 설명회에 이어 시의회와 시민단체 및 산 학 연 관계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부산연구개발특구 육성에 대한 토론 및 발전방향에 대한 공청회를 갖게 된다.
시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특구 구역내 주민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수렴한 후 이달 말경 부산연구개발특구 변경지정 요청서(지난 2010년 12월에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요청서를 지식경제부에 제출한 바 있다)를 지식경제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시의 특구지정요청에 따라 연말까지 환경부의 사전환경성검토를 비롯한 관계 중앙행정기관과의 협의를 마무리하고 협의과정에서 제기된 각 중앙부처의 의견을 반영한 후 연구개발특구위회(위원장 지식경제부장관)에 상정하여 심의를 거쳐 오는 11월께 지정 고시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