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부산문화재단은 오는 19일 오후 1시 시청 12층 국제회의장에서 ‘조선통신사 한일네트워크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조선통신사는 원조 한류, 한일 성신교린의 평화정신 등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담은 문화유산이다. 국내에서는 부산문화재단이 연구 지원, 유물 전시, 문화행사 및 국제교류 진행, 역사관 운영, 레지던시 지원 등 관련 사업을 추진하며, 부산지역 학자가 중심이 된 조선통신사연구학회와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는 16개 연고도시가 네트워킹을 형성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수많은 연구모임도 구성되어 있다.
조선통신사는 박제되어 보관되는 역사적 유물이 아니라 현재진행형 문화유산’으로 유지되고 있다. 몇 년 전부터는 한일 양국의 지식인과 문화예술인들이 중심이 되어 ‘신조선통신사’ 혹은 ‘속조선통신사’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조선통신사 관련 교류 모델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류의 원조이자 한일 성신교린의 상징이었던 ‘조선통신사’의 과거와 오늘을 조명하고, 조선통신사의 인류 문화적 가치와 평화정신이 미래에 전승되어야 할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임을 널리 알리기 위한 것이다. 특히, 한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조선통신사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자리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우리나라를 비롯 일본, 발트 3국의 대표인 에스토니아의 전문가가 참여해 조선통신사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의 가능성에 대해 발제한다.
조선통신사학회 회장 강대민 경성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나카오 히로시 쿄토 조형예술대학교 교수가 기조연설을 한다. 이어 Margit Siim 에스토니아 유네스코 위원회 부총장이 ‘세계기록유산 등재과정과 내용 및 발트 3국간 국제협력과 추진체계’를 주제로 발표하고, 중앙일보 노재현 논설위원의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유산 등재, 왜 아직 안 되었을까’ 토모노우라 조선통신사 연구회 대표 토다 카즈요시의 ‘조선통신사 가치와 등재대상 역사문화유산 현황’ 연세대학교 허경진교수의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의 필요성과 현재상황, 미래가치에 대해’ 등에 대한 발제가 진행된다.
특히 Margit Siim 부총장은 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 등 발트 3국이 힘을 모아 비폭력으로 독립을 이룬 평화의 길인 ‘600키로 노래혁명길’에 대한 기록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3국이 공동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한 축적된 경험과 교훈을 나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하루 앞선 18일 오후 1시 같은 장소에서는 조선통신사 관련 현존사례를 살펴보는 ‘한일 연고도시사례포럼이 열린다.
이날 포럼은 박화진 조선통신사학회 연구이사의 ‘조선통신사 학회와 부산에 관한 발표를 시작으로 니이사토 카오리 오노미찌 범포전실행위원회 대표의 오노미찌 지역산업인 범포를 이용한 아트 이벤트 오노미찌 범포전 개최 와타나베 리이치로 란토 문화재단 이사장의 조선통신사와 시모카마가리 21세기 조선통신사 한일 톱 바둑대국 도모실행위원회 키타니 마사미치 부위원장의 바둑으로 신의를 통하다-도모노우라에서 꽃피는 새로운 한일문화교류’ 카와고에 토진조로이 퍼레이드 실행위원회 오가와 미츠루 사무국장의 ‘카와고에 토진조로이 퍼레이드’ Bank ART1929 이케다 오사무 대표의 여행하는 거리-한일 교류의 새로운 가능성’ 등 사례발표가 이어진다. 발제 후에는 포럼 참가자 전원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플로어 토론도 준비되어 있다.
이들 행사는 부산을 비롯 서울의 연구자, 조선통신사 후손들, 청소년들이 참여할 것으로 여겨지며, 일본에서도 많은 관련 인사들이 참석을 알려 왔다.
시 관계자는 한일 양국의 보유유산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조선통신사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 조선통신사행렬 또한 고증과 원형을 보완하고 원래 규모로 재현한다면 부산이 보유할 유네스코 문화유산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