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24일 장애인 100명 이상 고용이 가능한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을 지난해 이어 추가로 유치하고, 장애인보조기구 사례관리시범사업’을 유치하는 등 지역장애인의 일자리창출과 복지증진을 위한 국책사업 유치에 큰 성과를 내고 있다.
시는 지난해 이어 올해도 보건복지부의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 사업자 공개모집’에 참여하여 전국 7개 시·도와 치열한 경합을 벌인 결과 5월 최종 선정되어 국비 7억원을 확보했다.
광역시 최초로 2년 연속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을 유치하고, 그 결과 국비 20억원을 확보하였고 향후 장애인 일자리를 200개 이상 창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난 4월 시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제정(정순천 의원)하고, 지난해 선정된 사업은 올 하반기에 개소하고 2010년 선정된 사업은 내년 상반기에 개소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대구에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이 건립되면 지역장애인들의 고용문제를 개선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앞으로도 다수고용사업장과 같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을 매년 확충하여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를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이란 장애인을 100명이상 고용하고 그중 60% 이상은 중증장애인이어야 하며, 모든 근로장애인에게 최저임금의 80% 이상을 지급하는 새로운 개념의 대규모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다.
보건복지부가 올해 신규사업으로 추진하는 장애인보조기구사례관리시범사업 수행지역 공모선정에 5개 시·도가 신청한 결과 대구가 1위로 선정되어 국·시비 등 5억원을 지원받게 됨에 따라, 그동안 수도권에만 집중되어있던 맞춤형 보조기구서비스센터가 지방에도 탄생했다.
시는 선정배경은 전국 최초로 재활공학과를 설립한 대구대학교의 우수한 보조기구 연구개발 및 임상실적과 시비예산을 미리 확보한 시의 사업추진의지가 높이 평가했다.
현재 시 등록장애인은 113천여명으로 전체인구의 4.5%에 해당하며 최근 4년 동안 21%가 증가하였고, 65세 이상 노인인구도 대구인구의 9.5%로 후천적 장애인구증가와 고령화로 인해 보조기구에 대한 잠재적 수요계층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동휠체어, 스쿠터 등과 같은 보조기구는 대부분 이용자의 장애특성과 개별적 요구를 고려하지 못한 채 획일적으로 대량 생산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는 부실한 사후관리 또는 안전사고와도 직결되는 등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시는 이번 사업을 보조공학분야의 풍부한 인프라와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대구대학교(재활과학센터)에 위탁 운영할 계획이며, 의료적 접근이 필요한 분야에 있어서는 대구가톨릭대학병원(재활의학과)과 연계하여 사업을 조기에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에 소재한 재활공학센터를 확장 리모델링하여 사례관리센터를 설치하고, 7월초 개소하여 보조기구 맞춤지원, 수리, 임대, 맞춤제작과 함께 내방이 어려운 장애인에게는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대구지역의 장애인은 병원의 의료진이나 보조기구 업체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보조기구에 대한 상담을 받아왔지만, 사례관리 센터가 개소되면 재활의학전문의와 보조공학사, 물리치료사, 사회복지사 등 관련 전문가들의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상담과 평가 등, 자신의 장애와 사용 환경에 가장 적합한 맞춤형 보조기구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활서비스제공을 위해 대구대학교 대명동 캠퍼스에‘첨단재활테크노파크’를 조성하여 시가 장애인재활서비스의 첨단도시로 부상할 수 있도록 대구대학교와 국책사업 반영 등 공동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