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도심에 위치한 예비군훈련장 4곳을 신공촌교장으로 이전·통합하는 향토지킴이센터(이하 센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군과 규모 확정을 위한 협의가 지연되고 있는데다 국비 지원이 없어 재원 확보가 불투명해 사업 초기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19일 시에 따르면 군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오는 2013년까지 모두 502억원을 투입해 서구 공촌동 산157의1 일원 신공촌교장을 48만㎡로 확대한 뒤, 이곳으로 주안·계양·공촌 예비군 훈련장을 이전해 통합훈련장인 향토지킴이센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실내사격장과 PRI교장 등 각종 훈련시설 13동을 5층 건물 1동으로 통합할 계획이지만, 군은 실내사격장 등 각종 훈련시설 13동과 주차장 1천500면이 필요하다며 센터 부지를 기존 훈련장 4곳을 합친 면적보다 넓은 71만9천31㎡(21만7천506평)으로 요구하는 등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안·계양·공촌훈련장 부지를 군으로부터 기부받고 신공촌 통합훈련장을 만들어 군에 양여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하다 보니 국비 지원이 전무, 센터 조성 사업비 500억원과 기존 훈련장 공원조성비 등의 확보가 불투명하다.
지난 2006년부터 서구 주민들과 구의회 등이 자연 훼손과 각종 소음, 교통 혼잡 등이 우려된다며 백지화를 요구하며 여전히 반대하고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다.군 자체적인 승인기간도 최소 1년 이상 걸리는데다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의 등 각종 행정절차도 1~2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사업기간 장기화로 인한 차질도 우려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업비 마련을 위해 지방채 발행을 검토하고 각종 행정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기 위한 전담 직원 및 군·관 T·F팀 구성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군사 관련 사업 추진경험이 없다 보니 군과 협의가 쉽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