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지방공무원교육원(원장 최 건수)는 20일 세계의 경제·문화·레저의 허브 도시로서 세계일류 명품도시 인천을 건설 할 창조적 인재양성과 전문 행정인 육성을 위해 상시 학습체계의 기반구축을 위한 사이버 교육과정의 확대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 운영, 공무원의 지역 현안 해결 능력배양을 위한 사회갈등 관리과정 등의 운영, 대민서비스 향상을 위한 공무원 인성교육 강화 그리고 시민 e-learning 서비스 확대 등 21C 글로버 시대에 걸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 훈련 기본방향을 정립하여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의 혁신을 기하고 있다.
고품질 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이버교육 활성화
2001년 전국 시·도 중 최초로 “공무원사이버교육센터(loti.incheon.go.kr)”를 구축 하였고 2005년도에는 인천시민사이버교육센터를 개설하여 금년도 공무원 989명, 일반시민 87,299명이 수료하는 등 많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특히 2008년도에는 e-도시계획, e-해양환경, e-국제행사 등의 고품질 콘텐츠개발과 아울러 학사관리시스템(LMS) 보강 및 콘텐츠관리시스템(LCMS) 업그레이드 사업을 추진하여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은 물론 언제, 어디서나 상시학습이 가능한 사이버교육환경을 더욱 활성화 할 계획이다.
말하기 및 듣기 중심의 외국어능력 교육 강화
2009 인천세계도시엑스포”와 “2014 아시아경기” 등 각종 국제행사 및 대규모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뒷받침 할 외국어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08년도에 개인별 어학수준에 따른 맞춤형 듣기 및 말하기 중심의 영어교육과정을 신설하여 2,300여명을 교육할 계획이다.
국제화에 필요한 외국어 교육 강화를 위해 외국어 정예과정에 있어 언어별 교육인원을 조정하여 영어교육을 강화하고 3개월의 (연 180명) 외국어 야간과정과 일상생활위주 5일 과정 (연 240명)을 운영하고 핵심중견간부 양성과정 교육훈련에 있어 선택외국어 과목을 영어로 단일화하고 1일 2시간 생활영어 중심의 외국어 능력 배양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다.
정책개발 연계를 통한 교육훈련 시너지 효과 극대화
정책개발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편성, 운영하여 지방행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통상물류 등 4개 분야를 집중연구, 50편의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여 정책개발에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분임연구 활동을 통해 2009년 인천 세계 도시엑스포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유치전략, 홍보전략, POST사업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정책개발이 가능한 교육 훈련을 실시하여 수료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아울러 외국어 정예과정과 핵심중견간부양성과정 중 선진지 견학을 통하여 총 69건의 선진행정 우수사례를 발굴하는 등 정책개발 능력배양과 연구 분위기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민간 교육전문가 참여 확대
교육훈련의 효율적 운영과 공무원 교육훈련의 질적·양적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경쟁력 있는 인재양성을 위하여 교육공학전문가를 주축 으로 총 11명으로 『교육훈련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공무원교육훈련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개선·발전방안 협의와 장·단기 교육훈련계획의 수립 및 운영에 필요한 지도와 협력은 물론 교육훈련과정의 신설·폐지 및 교육훈련 성과평가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며 아울러 우수강사를 초빙하기 위해 강사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고, ‘07년 12월 현재 1,811명의 강사를 확보하여 운영 중에 있다.
교육환경 개선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최근 19억원의 예산을 들여 체육관을 현대식으로 보수하였고 기숙사를 최대 93명이 숙박할 수 있도록 내부보수와 운동장에 잔디구장 조성 하였고 이를 일반시민에게도 개방하여 금년도 일반시민 1,300명이 이용하는 등 많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앞으로 많은 시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평가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 모색과 명품도시 건설관련 교육 특화
그 간 교육평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은 과감히 개선하고 잘된 점은 적극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교육시스템을 적극 구축해 나갈 것이며 2008년도에는 세계 일류 명품도시 건설을 이끌어 공무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명품 도시건설 관련 교육을 특화하여 행정 및 교육수요(needs)에 의한 전문교육, 인성교육과 고품격 행정서비스 교육 등을 확대 개편하고 아울러 각종 개발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시민과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회갈등관리과정을 신설하는 등 공무원의 지역 현안 해결 능력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