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송도캠퍼스 조성사업 지연과 금융위기 여파로 난항을 겪었던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이 사업성 부족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24일 시에 따르면 인천대 송도캠퍼스 조성사업의 마무리와 인천전문대 통합이 가시화됨에 따라 PF대출과 함께 오는 9월부터 지장물 보상 및 철거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단지 개발사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 같은 절차에 돌입하기에 앞서 마련해야 할 선결과제인 사업성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시는 인천대 송도캠퍼스 조성사업과 금융위기라는 난제를 극복하며 PF대출에 필요한 사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시행자인 인천도개공이 SPC에 19.9%의 지분만 참여하는 점을 고려, 분양가상한제 배제를 검토해왔다.
도화구역은 인천도개공이 수용 또는 사용방식으로 조성하는 공공택지로, 여기에서 주택을 공급하면 지분과 관계없이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이를 적용할 경우 수익성이 떨어져 사업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와 함께 용적률을 탄력적으로 적용해 가구 수를 늘려 사업성을 확보하려고 했으나 이것 역시 쉽지 않게 됐다.
당초 도화지구는 1만9천560명으로 계획됐다가 민간사업자가 1만6천744명으로 축소했으나 용적률을 높이면 상주인구가 2만 명을 넘게 된다.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면적 100만㎡ 이상 또는 계획인구 2만 명 이상 사업지구가 포함되는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대상사업’에 해당돼 사업비 증가요인으로 작용한다.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대상사업에 포함되면 단지조성비의 10~20%를 부담해야 해 도화지구에서만 대략 4천억 원의 증가요인이 발생,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는 사업성 확보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PF를 성사시키려면 금융권을 이해시킬 대안이 뚜렷하지 않아 현실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