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12일 16개 시·도 지방자치단체중 전국 최초로 재가장애인에게 수화통역 교육을 실시, 청각장애인의 민원을 해소하여 사회참여를 도모하는 장애인 수화통역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 9월에 신청자를 접수 받아 총 11명의 교육대상자를 선정하였고, 인천시 장애인복지단체인 수화통역센터에서 오늘부터 시작하여 내년 3월까지 6개월간의 수화통역 교육을 실시한다.
시는 교육을 수료한 장애인에게, 인천시청을 비롯하여 각 군·구 청사에 1명씩 배치하여, 청사를 방문하는 청각장애인의 민원처리를 비롯하여 기타 관내 민원까지 현지에 출장하여 처리하는 수화통역사를 2010년 4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에 추진하는 장애인수화통역사 운영은 장애인에게 월 최저생계 이상의 급여를 지급하는 사회적 일자리로, 공공기관에서 솔선하여 추진함으로서 일정한 소득보장을 통한 장애인의 자립·자활의 여건 조성을 조성하고 또한 지난해 4월 시행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법률과 연계 청각언어 장애로 인하여 의사소통 등 일상생활의 불편을 겪고 있는 청각장애인에게 생활편의 제공 및 사회참여를 확대하는 등 사회 전반에 농 문화·사회의 인식을 개선하는 계기가 마련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장애인에게 수화교육을 실시하여 군·구의 수화통역사를 점차 증가시키고, 향후에는 관내 공사·공단 등 유관기관에도 장애인 수화통역사를 배치하는 등 점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