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대구시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초광역 3D융합산업 육성사업이 지난 5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시는 이 사업은 2009년 12월부터 광주-대구가 공동으로 기획하여 지난해 12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심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 3D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예비타당성심사단의 엄격한 검증을 거쳐 통과했다고 9일 밝혔다.
3D 융합산업은 기존에 영화나 방송 등 영상산업에 한정되었던 3D 기술을 他산업 분야에 접목한 융합산업으로, IBM사의 예측에 따르면 향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017년에는 전세계 시장 규모가 100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는 신산업 분야이다.
시는 광주의 광 산업과 대구의 IT융합산업의 역량을 결집한 3D융합산업 육성을 위해 2012년부터 2016년까지(5년간) 3,266억원을 투자하여 기술개발, 기업지원, 인력양성, 3D상용화지원센터 설립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내용은, 3D상용화지원센터 첨단과학산업단지 전자부품연구원내 신축, 광주, 대구, 구미지역을 연계하는 가상클러스터 구축사업 추진, 3D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3D 전문인력 양성, 기술거래지원, 시제품제작지원, 애로기술지원, 특허 및 인증지원, 투자촉진 및 사업화지원, 지역연구기관 등을 위한 기반구축기술개발사업과 지역기업지원을 위한 제품화기술개발사업 등이다.
시는 2015년말 상용화지원센터 완공 등으로 3D융합산업육성 사업이 연평균 15% 성장률로 2019년부터 생산액 3조원, 부가가치액 1조8천억원, 종사자수 8,000명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역외 기업의 광주 이전도 활성화 될 것으로 관계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낙후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호남권-영남권의 정치적, 산업적 기반을 토대로 연계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었다는데 의미가 크고, 차질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