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계기로 광주 인권도시 프로그램이 전환점을 맞아 제2차 인권정책개발 커뮤니티가 2일 오전 10시 광주테크노파크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커뮤니티는 시와 전남대 공익인권법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한 인권정책 논의의 장으로,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최완욱 사무국장의 인권특강에 이어 광주발전연구원 연구팀의 광주인권정책 및 인권지표의 효율적 실천방안을 기조발표하는 순으로 진행했다.
종합적 인권진단 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인권지표는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과 세계인권선언문을 비롯한 각종 국제조약을 준수하면서 생활현장에서 시민의 인권을 존중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시와 광주발전연구원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동 개발해온 것으로 지표의 보편성, 정책적 활용성, 관리 효율성, 지역성 등을 개발기준으로 삼아 향후 인권헌장과 연계하여 광주의 인권현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광주의 인권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도구로 활용될 전망이다.
인권지표는 그동안 494개의 예비지표 발굴 및 각 부서별 조정, 시민공청회, 인권단체, 국가인권위 정책간담회 등 의견수렴을 거쳐 현재 5대 영역 18개 실천조항, 110개 지표(핵심지표 50개)로 축약된 상태이며 국가인권위원회, UN 최고인권대표사무소(OHCHR) 의 검증을 거친 뒤 오는 12월께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5대 영역 시민참여의 민주도시 삶이 안정된 행복도시 쾌적한 환경의 도시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관용도시 연대와 창조의 문화도시이다.
시 관계자는 인권지표는 인권도시를 향한 광주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며 인권지표를 토대로 각 분야별 실천계획을 수립하고, 강력하게 추진하는 일이 남은 과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