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올해 시 종합건설본부에서 추진한 관내 5개현장의 오염총량관리 하수관거정비사업을 모두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시가 추진 중인 하수관거정비사업은 서구 화정동 등 13개 지역에 총377㎞로 이중 250㎞는 민간투자사업으로 2013년말 완료 예정이다. 올 해 종합건설본부에서 추진한 3개 지역의 5개현장 73㎞는 지난 3일 완료하고, 잔여구간 54㎞는 2012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하수관거사업은 시가 환경부로부터 고시받은 영산강 수질의 BOD 8.2㎎/ℓ을 5.6㎎/ℓ으로 줄이기 위한 사업으로 시는 지난 2005년 8월부터 오는 2015년까지 1·2단계 사업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하수관거정비사업, 마을하수도 사업 등 15개 사업에 1조 319억원을 투입해 BOD를 일일당 1만2,217kg을 삭감 할 계획이며, 이중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통해 BOD는 일일당 3,476.7kg을 삭감할 계획이다.
하수관거 정비사업 추진으로 해당 지역 주민들은 정화조 청소 및 관리에 따른 별도 비용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건물 신·증축시에도 정화조 설치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우·오수 분류식 하수관거가 정비되면 악취 문제의 해결 등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조성과 노후관 정비로 저지대 침수를 예방할 수 있고, 불명수 유입방지로 하수처리장 효율이 증대되어 광주천 및 영산강의 수질이 크게 개선 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본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에 연인원 10만3,789명과 덤프 등 2만1,624대의 장비투입으로 약 222억34백만원 사업비가 집행되어 지역건설업체 수주 활성화는 물론 일자리창출에도 크게 기여하였다며, 잔여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으로 하천의 수질오염 방지와 시민의 주거환경 개선에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지난 2002년 1월 영산강·섬진강 수계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2005년 8월부터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시행중에 있다.
이는 그 간의 수질정책이 배출시설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의 농도만 규제해 왔으나, 인구 및 산업시설의 증가로 오염물질의 총량이 증가하는 문제로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오염총량관리제도는 목표수질 및 오염부하할당량을 국가에서 정해주고 이를 맞추기 위해 삭감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이를 불이행할 경우 총량 초과부담금 같은 금전적 제재뿐 아니라 지역개발 제한 등 개발활동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