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자동차·인공지능(AI)‧에너지·의료산업 21개 기업과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시는 이를 통해 투자금액 2486억원,고용 창출 760여명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자동차‧AI‧에너지‧의료산업 관련 21개사와 투자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광주광역시 제공) 이날 협약식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선석기 광주경제자유구역청장, 투자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투자협약 기업은 ㈜디에이치오토웨어(서울) ㈜디엔(경남 밀양) ㈜와이에스피(광주) ㈜수룡산업(전남 장성) 한국IMC㈜(광주) ㈜에스시테크(광주) ㈜JK베스트(광주) ㈜에이투지시스템(충북 청주) ㈜고스트패스(광주) ㈜아이메디텍(광주) ㈜파인트코리아(전남 장성) ㈜대일텍(충북 음성) ㈜그린코어(전남 나주) ㈜케이스랩(경기 수원) ㈜광현이엔피(전북 전주) 등 지역기업 11개사와 지역외기업 10개사이다. 산업분야로는 전기차 부품 제조 등 자동차 관련 기업 11개사, 인공지능(AI) 융복합 연구개발 관련 기업 6개사, 에너지저장장치 제조 등 에너지 관련 기업 2개사, 의료바이오 기업 2개사 등으로, 광주시를 대표하는 산업업종에 속하는 기업들이다. 투자내용을 보면 ㈜디에이치오토웨어는 서울에 본사를 둔 코스닥 등록기업으로 우수한 기술력과 생산력에 기반해 다수의 국내외 자동차기업에 오디오, 비디오 등 전장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투자를 통한 글로벌 자동차 경쟁력 확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광주에 자동차부품 생산 스마트공장을 건설한다. ㈜디엔은 자동차 부품업체로 경남 밀양 춘화농공단지에 본사를 두고 있는 혁신기업이다. 자동차 내장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광주에 경량화 차량에 최적화된 흡차음재 개발 및 생산 공장을 설립해 내장재 전문공장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와이에스피는 ㈜용산의 관계사로 자동차부품 제조 및 CKD(반조립제품) 수출 포장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광주 공장을 리모델링해 자동차부품 배터리셀 모듈 생산 공급하는 설비를 구축할 예정이다. ㈜수룡산업은 전남 장성에 소재한 기업으로 우수한 품질의 케이블타이, 커넥터 등 자동차부품을 개발‧생산하고 있다. 제품 제조 기반 확대와 기술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 시설투자를 추진한다. 한국IMC㈜는 광주 평동산단에 입주해 오랜 경험과 정밀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차량용 스위치 등 자동차부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자동차 고급화 추세에 맞춰 높은 품질의 전장제품 생산을 위해 광주 제2공장을 건립한다. ㈜에스시테크는 광주 평동산단에 입주, 자동차 차체 부분품을 제조하는 기업이다. 신규차종 생산을 위한 신규아이템 개발 및 양산을 위한 공장을 신설할 예정이다. ㈜JK베스트는 이차전지 배터리설비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이차전지 설비 및 진공펌프 부품양산을 위한 공장을 증설할 예정이다. ㈜에이투지시스템은 충북 청주에 소재한 시스템통합(SI)·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 전문기업으로 공공서비스, 모바일서비스 솔루션 개발 기업이다. 광주에 독립법인으로 기업부설연구소 법인을 설립해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집중 연구 및 상품·솔루션 개발을 위한 투자를 실시한다. ㈜고스트패스는 광주에서 창업한 기업으로 원격 생체인증 솔루션 분야에 혁신기술을 개발해 ‘2023년 삼성 씨랩(C-LAB) 아웃사이드’ 선정 등 다수의 성과를 냈다. 인공지능(AI)융복합지구에 본사와 연구소를 설립해 사업 확장과 기술개발을 강화한다. ㈜아이메디텍은 나노섬유 인공혈관, 나노섬유 창상피복제를 생산하는 융복합 의료제품 전문기업으로 첨단마이크로의료로봇지원센터에 입주해 나노섬유제조기술, 약물정밀코팅기술, 표면 패터닝기술, 표면개질기술을 이용한 의료제품을 개발 생산할 계획이다. ㈜파인트코리아는 의료용 생분해성 복합소재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 기업으로 첨단마이크로의료로봇개발지원센터에 입주해 생체 흡수성 의료기기 및 융복합 의료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 투자를 진행한다. ㈜대일텍은 충북 음성에 본사를 둔 콘크리트 3D홀블록 제품 생산 기업으로 콘크리트 3D홀블록 제품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지스트(GIST)에 연구개발(R&D) 거점을 설립하고 인공지능기반 융합제품에 대한 연구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그린코어는 전남 나주에 소재한 에너지분야 유망기업으로 전기차 충‧방전기, 에너지저장장치 등 제품 연구개발 및 생산을 위해 에너지밸리일반산업단지에 연구소와 공장을 설립한다. ㈜케이스랩은 경기도 수원에 본사를 둔 산업용 로봇 제조 및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인공지능(AI)융복합지구에 연구소를 신축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연구를 위한 투자를 진행한다. ㈜광현이엔피는 전북 전주에 소재한 배터리 제조기업으로 우수한 품질 기반해 국내 대기업을 판매처로 확보하고 있다. 제품 생산능력 향상을 위해 에너지밸리일반산업단지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 강 시장은 “창업과 실증을 도시성장의 한 축으로 삼고 ‘기업하기 좋은 도시 광주’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이번 투자협약이 실투자로 이어지고 풍성한 산업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광주시는 기업과 원팀이 되겠다.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 산업을 키우는데 행정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투자기업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투자유치 단계부터 장애요인 해결과 행·재정적 지원, 애로사항 청취 등 기업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해 기업하기 좋은 투자 환경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