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3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절약, 자원재활용 등 자연친화적으로 건축물을 설계하여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그린빌딩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을 마련 내달 1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시는 그린빌딩 활성화를 위하여 우선 1단계로 내년부터 2011년까지 공공건축물부터 시범적으로 매년 2-3개소를 선정 시행하기로 하고, 올해 추진되는 농업기술센터 청사이전, 장애인 근로사업장, 동구신청, 어린이 회관 건립 등 공공건축물을 시범대상으로 선정했다.
또한 민간건축물로는 둔산동 삼성생명보험사옥 신축공사장, 천동3지구 주거환경 정비사업 대상지를 시범대상을 선정하여 자연친화적 건축으로 건축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2단계 계획으로 2012년 이후는 그린빌딩 인증 확산단계로 공공건축물 뿐만 아니라 민간건축물에도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시는 친환경건축물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기관 건축물은 설계단계부터 친환경 기법을 적용한 그린 빌딩을 건립하기로 하였고, 설계공모, 설계시공일괄입찰, 대안입찰 시 그린빌딩 적용건축물에 대하여는 가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시는 건축심의대상 건축물인 16층 이상 또는 3만㎡ 이상 건축물, 500세대이상 공동주택에 대하여 친환경 건축기준인 생태계, 기후, 지형 등을 고려한 토지이용 및 배치 생태환경을 고려한 녹지공간조성 태양열 급탕설비, 태양광설비,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 방음, 단열, 더블스킨 창호 시스템, 자연환기 등을 통한 쾌적한 실내환경 등 그린빌딩(친환경건축물) 인증 부문별 평가항목이 반영되도록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나갈 방침이다.
또한 그린빌딩 확산을 위하여 대덕연구단지내 위치한 한국에너지 기술원과 2001년 3월 그린빌딩과 관련한 업무협정을 맺어 있어 그린빌딩 인증업무에 대한 기술 컨설팅을 활성화하고, 아울러 시민들의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분위기 확산을 위하여 금년9월경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도 갖고 있다.
대전시는 에너지절약과 환경보전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전국 지자체에서 최초로 시 그린빌딩 인증제도’를 지난 2002년 7월부터 시행 친환경 건축물 건립을 적극유도 하고 있다.
시는 그동안 대전우체국청사, 가오지구 하늘채 아파트와 교통안전 체험교육센터가 그린빌딩 인증을 받았으며, 서구청 청사, 신탄진도서관은 그린빌딩 컨설팅을 통하여 친환경적 기준을 적용한바 있으며, 지난해 11월 덕명지구 네오미아 아파트와 금년 1월 서남부 지구 수목토 아파트는 친환경건축물로 예비인증을 받았다.
대전시 관계자는 “앞으로 친환경 저에너지 사용 확대로 저탄소 녹색실천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에너지 절약을 통하여 환경오염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가진 친환경 건축물로 삶의 질 최고의 Green City 건설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