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3일 울산지역에 지정 및 설치돼 있는 민방위비상대피시설’은 총 622개소에 면적은 145만518㎡로 소요량(86만6512㎡) 대비 167.4%의 확보율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
소요량 도시인구 기준 3.3㎡당 4인(읍 이상지역), 10시간 내 대피한다.
구·군별로는 중구 155개소(26만281㎡), 남구 200개소(70만3226㎡), 동구 175개소(16만9811㎡), 북구 55개소(21만5762㎡), 울주군 37개소(10만1398㎡) 등으로 확보돼 있다.
시설주체별로는 정부지원시설 6개소(4152㎡), 자체시설 9개소(1만4344㎡), 공공용시설 607개소(143만2022㎡) 등이다.
등급별로는 1등급(화생방 방호시설을 완비한 지하시설) 1개소(북구청), 2등급(지하 2층, 터널) 16개소, 3등급(지하 1층, 지하 차 · 보도, 지하 주차장) 583개소, 4등급(소규모 지하 - 60㎡이상) 22개소이다.
한편 시는 북한의 연평도 도발과 관련 3일부터 13일까지 전 구·군의 민방위비상대피시설(622개소)에 대해 전수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민방위대피시설은 구·군에서 비상시 실제 활용 가능한 시설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나 연평도 사건으로 긴급하고 특별한 사항이라 울산시가 직접 전수실태조사를 추진키로 했다.
시는 결과가 나오면 실태를 정확하게 분석, 정비 · 보완 조치하여 시·구·군 홈페이지 및 반상회 회보를 통해 생활 주변의 대피시설이 어디에 있는지를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생활주변에 있는 대피시설을 주의 깊게 살펴 위치를 평소에 꼭 숙지해 두고 민방공대피훈련 시 적극 참여하여 대피훈련이 일상 생활화되어야 유사시 능수능란하게 대응태세가 이루어진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