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울산
|
울산시 태화강 재첩 자원조사 본격 착수
|
|
|
기사등록 일시 : 2011-09-16 13:20:16 |
|
|
|
태화강 하구 일원에 서식하고 있는 재첩은 바닷물과 민물이 교차하는 지역에 서식하는 기수재첩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16일 지난 9월 6일 남구 삼산동 학성교 아래 태화강에서 재첩 시료를 채취하여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에 기초 조사를 의뢰한 결과 이같이 통보해 왔다고 밝혔다
기수재첩(학명 Corbicula japonica)은 크기가 3 - 4㎝ 정도로 우리나라 패류도감에서 일본재첩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일명 가막조개, 갱조개, 강조개 등으로도 불린다.
주 서식지는 낙동강, 섬진강을 비롯한 동해안 하천의 기수지역이며, 주로 모래와 펄이 혼합된 곳이나 순수 모래지역에 서식하며 껍질의 색은 검은색, 짙은 갈색, 적갈색 등이 있다.
재첩의 산란 최소 크기는 1.7cm(2년생 이상), 산란 시기는 7월 - 8월이다. 이에따라 크기가 1.5㎝ 이하인 경우 법적으로 채취를 금하고 있다.
시는 태화강 하구의 재첩이 기수재첩으로 확인됨에 따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와 공동으로 태화강 일원에 대한 재첩 자원 조사를 실시, 어업자원 가능성 확인과 함께 보호대책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태화강 하구는 수심 1m 내외(바닥 펄, 모래로 형성), 염분 18.7% 등의 기수지역(강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는 지역)으로 재첩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으로 파악되고 있다.
|
<저작권자 © 한국디지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이정근 기자
|
기자의 전체기사보기 |
|
|
|
|
|
|
|
|
|
|
 |
|
|
|
해가 간다
|
2024년, 계묘년(癸卯年) - 갑진년(甲辰年) 2025년, 갑진년(甲辰..
|
|
|
|
|
|
|
|
|
|
|
|
|
|
|
|
|
|
|
 |
|
|
|
|
|
|
김하은을 찾습니다
|
아동이름 김하은 (당시 만7, 여)
실종일자 2001년 6월 1일
..
|
|
|
|
|
|
|
 |
|
|
|
|
별나무
|
별나무
아세요?감을 다 깎고 보면주홍 별이 반짝인다는 걸
우..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