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부산으로 인구 유출은 줄고 관광객 유입은 증가
울산시는 30일 동해선 개통 1년을 맞아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광역 생활권 대중교통 수단으로 정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산으로의 인구 유출은 미미했으며 관광객의 유입은 증가했다. 시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1년을 맞아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태화강역 이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등 동해선 개통 이후 1년간 이용현황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동해선 광역전철은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전철로 울산과 부산 간 생활권이 확대됨에 따라 개통 1년 동안 전 구간(부전역~태화강역) 총 3,258만여 명으로 이용객이 개통 전보다 51% 증가했다. 또 태화강역 기준 총이용객은 326만여 명, 1일 평균 이용객은 9,048명으로 개통 전 대비 무려 224% 급증한 것으로 나왔다. 이는 정해진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어 출퇴근, 통학 등에 적합하고, 광역 단위 이동에도 불구하고 시내 요금 수준으로 시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적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동해선 정차역 이용현황을 비교해 보면 벡스코역(1만 834명), 교대역(1만 86명), 부전역(7,908명) 다음으로 태화강역(7,335명) 이용객이 많았다. 주 통행목적으로는 평일에는 통근‧통학 등 개인 용무가 56.8%, 주말에는 여행(관광)이 46.8%를 차지하였고, 연계 교통 수단으로는 버스 62.4%, 택시 12.4%, 승용차 9%, 기타 16.2% 순으로 나왔다. 또한 광역전철 이용에 따른 경제적 혜택을 파악하기 위해 개통 전 이용 교통수단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태화강역 1일 이용객 편익을 비용으로 환산하면 6,387만 원으로 개통 1년간 총 233억 원 정도 추정된다. 계량화하기 어려운 지역개발 효과 등의 편익을 포함할 경우 전체 편익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동해선 개통으로 우려했던 지역 영향 분석 결과, 부산으로의 인구 유출은 개통 전보다 오히려 감소했으며, 울산 내 주요 관광객 증가 등으로 지역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평가됐다. 부산으로 인구이동 변화를 보면, 전년 동월 대비 부산으로 순유출 인구는 개통 전 1,140명(2021년 1~9월), 개통 후 1,077명(2022년 1~9월)으로 전년 동월 대비 오히려 순유출 인구는 63명 감소했다. 울산 내 주요 관광지 이용객은 전년 동월 대비 개통 전 134만 7,000명(2021년 1~9월), 개통 후 214만 6,000명(2022년 1~9월)으로 79만여 명 증가해 지역 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구 유출, 관광객 유입 등의 요인이 단순히 동해선 개통의 효과만으로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중‧장기적인 관측과 대응을 위한 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2023년에는 보다 더 심도 있는 연구 분석 지표 마련을 위해 울산연구원에서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의 지역영향 분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다 더 편리한 교통체계 추진을 위한 발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1년간 이용객의 급증으로 울산‧부산간 활발한 인적 교류와 시민 편의에 기여했다.”며 “향후 울산의 대표 광역교통수단으로 역할 수행을 위해 연계 교통수단 및 역사 내 편의시설 확보 등으로 더욱 편리한 시민의 발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