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찰관 1인이 관할하는 면적이 서울의 36배, 인천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각종 납치, 살해 등 강력범죄사건과 무관하지 않아 시급한 경찰력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 GIS팀 조사에 따르면 3일 2006년도 전국 지방경찰청은 서울시 31개소, 경기도 34개소, 인천시 9개소를 포함 총 238개이며, 전체 경찰관 수는 95,966명이다. 경기도 경찰서 수는 34개로, 31개인 서울시와 유사하지만 경찰관 수는 13,126명으로 서울시의 약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경찰관 1인이 담당하는 인구수를 살펴보면 서울시 405명, 인천시 550명, 경기도 846명으로 경기도는 전국 평균 506명보다도 1.6배 이상 높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각종 택지개발 등으로 경기도 유입인구는 급증하는 데 비해 경찰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2006년 현재 경기지방경찰청에는 수원시 중부, 남부, 서부 3개소와 성남시 수정, 중원, 분당 3개소, 부천 남부, 중부 2개소, 안산시 단원, 상록 2개소를 비롯 총 34개소 13,126명의 경찰관이 배치되어 있다.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경찰서가 없는 화성시, 하남시, 동두천시, 의왕시 4개 시는 인접 시·군 경찰서에서 관할하고 있다. 의왕시는 과천, 군포에서 반반씩 관할하고 하남시와 동두천시는 각각 광주시와 양주시에서 맡고 있다. 화성시는 오산경찰서 관할이었으나, 최근 병점, 동탄신도시 등으로 인구유입이 늘어남에 따라 4월 4일 화성서부경찰서가 신설된다.
경기도 31개 시·군 경찰관 1인이 담당하는 인구수를 살펴보면 용인시가 1,288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를 이어 남양주시 1,048명, 안양시 972명 순으로 나타나 이 지역에 대한 보완이 우선시되고 있다.
한편,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경찰관 1인이 관할하는 면적을 살펴보면 서울시 0.02㎢, 인천 0.21㎢, 경기도 0.77㎢로 나타나 경기도 경찰관 1인의 관할면적이 서울의 36배, 인천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연 GIS팀 옥진아 팀장은 “경기도 경찰인력이 타 시·도 특히 서울시와 비교해 부족한 것은 주민의 안전과 치안유지에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면서 이에 대한 시급한 보완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