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시가 지제역사권 개발방식을 놓고 환지 방식에서 수용방식으로 갑자기 변경되면서 지주들과 심각한 마찰을 빚어 적절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신협에 의하면 급기야 지제역세권 제1구역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지주들 2백여명은 지난 26일 평택시청에서 토지강제수용 반대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고 지제역으로 이동 역세권 지구내 소유 토지를 돌며 만장기를 곳곳에 설치하는 등 ‘수용반대, 환지 채택’을 요구하며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평택시와 정부는 기존에 사업을 추진해온 조합과 주민들은 별도의 의견 수렴 없이 공공개발식 수용안으로 변경 토지주들의 불만과반발을 자처했다는 비판이 비등하게 제기되고 있다. 대책위 김 홍보국장은 “당초 환지개발에서 갑자기 국토부와 평택시가 강제수용 방식으로 개발 계획을 변경시켜 추진했다”며 “한국토지주택공사를 앞세워 공공개발로 나선 것은 재산권 침해 및 반민주적 행위”라며 강하게 울분을 토로했다. 김 국장은 “토지 강제 수용제도를 철회하고 환지 방식으로 개발할 것을 촉구한다” 며 “시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어 재산권 행사를 제한하면서 환지방식으로 개발하겠다고 공언하고는 갑자기 강제수용으로 변경한 것에 대해 토지주들의 반발은 당연한 일이며 반드시 재고해야할 개발방식” 이라고 성토했다. 특히 공공개발을 반대하는 가칭 1구역 지주들은 모두 농지로 형성돼 있어 헐값 수용의 우려가 대단히 높은 실정이며 이와 달리 3구역과 4구역은 건물과 대지가 대부분으로 이곳은 현금청산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구역별로 의견이 나뉘는 상태다. 이에대해 평택시는 “전체 사업 구역에서 일부 지역만 사업에서 배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갈등의 요소를 줄여 나가는데 최선을 다 할 예정” 이라며 “조속히 협의체를 구성해 원만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주민 갈등을 부추기는 평택시는 당초 환승센터부지 9만9천㎡는 평택도시공사가 개발하고 잔여 부지 2백34만7천㎡는 평택시 주도의 환지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가닥이 잡혔으나 지난 5월 8일 공공주택지구로 지제동, 신대동, 세교동 일원 4백53만1천㎡(137만평)에 3만3천호의 택지개발 지정제안이 이루어졌으며 한 달 후 주민공람이 진행돼 내년도 지구지정이 가시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