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해소 13.4조, 생산성 감소 2.4조, 한국적 스트레스 21.7조 스트레스로 인한 수도권 주민 1인당 생애비용 약 1억1천600만원 무한돌봄센터에 항 스트레스 프로그램 도입해야 제안
수도권 주민의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연간 37조5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사용하는 13조4천억원, 스트레스로 인한 생산성 감소비용 2조4천억원, 관혼상제.사교육비 등 한국 사회 특성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비용 21조7천억원을 합한 액수다.
8일 경기개발연구원 김희연 연구위원은 <스트레스 사회 한국 : 원인과 대안>에서 스트레스 원인과 그에 따른 비용을 분석하고 한국 사회 특성에서 비롯된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생애주기 따라 스트레스 원인 달라 스트레스로 인한 수도권의 사회적 비용은 연간 37조5천억원에 달했다. 2010년 기준 수도권 지역내 총생산(GRDP) 6.7%에 해당하는 규모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병원치료, 피부관리, 여행, 운동, 음주, 친구와의 수다 등에 사용하는 스트레스 해소 비용과 직장인들이 스트레스로 의욕이 상실하는 정도를 화폐가치로 환산한 생산성 감소비용, 관혼상제.사교육비 지출액 중 체면 등으로 과잉 지출한 한국적 스트레스 비용을 합산한 금액이다.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은 생애주기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에게는 과도한 학습 부담과 성적 경쟁, 부모의 기대와 체면유지 부담감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작용했다. 대학생은 진로(취업), 학비(생계), 학벌(스펙)에 대한 강한 불만으로, 기성세대는 노후대비와 주택마련을 위한 비용부담 때문에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직장인은 과도한 업무량과 이직이나 적성 불일치 스트레스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기혼직장인은 동료와의 경쟁에 대한 스트레스가, 부모세대는 생활비 외 축의금, 부의금 등 사회적 관계와 체면 유지비용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 1인당 연간 스트레스 해소 비용 74만2천원, 사교육 스트레스 비용 325만원, 축.부의금 스트레스 비용 22만5천원, 1가구당 연간 장례.제사.명절 스트레스 비용은 77만3천원으로 나타났다. 각 스트레스 비용이 해당하는 생애주기를 감안해 추정한 수도권 주민 1인당 생애비용은 약 1억1천600만원으로 분석됐다.
한국 사회가 부른 스트레스 낮추려면? 김희연 연구위원은 한국인의 스트레스는 과도한 경쟁과 체면을 중시하는 사회 특성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저(低)스트레스 사회시스템과 신생활문화 형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입시와 취업 등 경쟁의 룰을 다양화, 공정화하고 경쟁의 진원지인 고용양극화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의 임금, 복지, 안정성 등을 개선하자는 것이다. 비교와 체면 중시에서 벗어나 개성과 실질을 중시하는 신생활문화를 확산하자는 의견도 덧붙였다.
항(抗)스트레스 사회시스템 구축 방안도 나왔다. 진학.취업.입대 등 심각한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연령대에는 정신건강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치료하는 등 전 생애에 걸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관리하자는 내용이다.
명상, 요가, 에스테틱, 스파 등 탈(脫)스트레스 산업 육성을 위해 직접.혼합.간접관리 등 시스템을 마련하는 마스터플랜도 제안했다. 스트레스 직접관리는 공공에서 전통적인 정신치료 체계를 구축하고, 기업은 사내 스트레스 해소 시스템을 지원하는 영역이다. 혼합관리는 예술치료 등 심리치료 사업, 간접관리는 스파, 명상, 요가 등을 포함한다.
김희연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일상 속에서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도록 무한돌봄센터에서 항(抗)스트레스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며, “탈(脫)스트레스 산업 육성을 위해 경기 동.북부지역 등 청정 자연환경과 우수한 산업 인프라를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