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창조경제 시대’를 활짝 열기위한산업기술개발의 핵심전략인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4-2018년)’을 수립하기 위해 작업반 전체 Kick-off 회의를 30일 오후 4시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산업기술혁신계획 수립에 참여하는 産學硏官의 산업기술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하여 혁신계획 방향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각 분과별 작업 방향 및 향후 추진 일정에 대해 논의한다.
산업기술혁신계획은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5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추진해야 하는 법정계획으로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13년말까지 수립해야 한다.
제5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09-2013)은 '09년에 수립하고, 2013년 종료 예정이다
계획은 5년간의 산업기술 R&D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 미래 기술개발전략과 그에 따른 R&D투자방향, 산업기술혁신기반 전반의 정책을 담게 된다.
이를 위해 기술개발, 기술사업화, 기술인프라, 글로벌기술협력, 평가관리체계, 지역 기술기반, 기술인재양성, 기술문화확산 등 8개 분과작업반을 구성하여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바탕으로 매년 ‘산업기술 R&D 로드맵’을 수립하여, R&D 과제를 기획함으로써 동 계획은 산업기술 R&D 기획기능의 기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동 계획이 상위 기본계획인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기조를 같이하고 ‘산업융합발전기본계획’, ‘부품소재발전기본계획’ 등 부내 타 기본계획과 상호 연계되도록 하여, 산업기술 R&D정책 방향을 설정한다.
한편, 동 회의에서 산업연구원 장석인 박사는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산업기술정책 방향’ 이라는 주제로 혁신계획의 정책방향성을 제언한다.
정부의 산업기술정책은 민간기업의 R&D 혁신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시장과 기술을 고려한 R&D 투자방향을 제시하여 불확실성을 최대한 줄여주며 R&D 지원방식에 있어서도 기존의 개별 기업 또는 제품중심의 분절형 접근(Stand alone approach)에서 소재·부품·장비·시스템·제품 등 산업생태계(Industry eco-system) 경쟁력 확보 차원의 입체적 R&D지원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산업부 정만기 산업기반실장은 인사말을 통해 “창조 경제시대에, 산업기술정책은 과거 모방형·추격형에서 창조형·선도형 성장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창의, 융합, 개방’ 관점을 반영한 산업생태계중심의 산업기술혁신체계로 再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혁신계획의 실행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산업부내 관련 정책과제와의 상호 연계가 중요하며, 아울러 관계부처와의 협의 등을 통해 중장기 예산계획과의 연계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향후, 분과작업반 운영(8월말), 공청회 개최('10월중순), 산업부 전략기획 투자협의회 보고(10월말),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보고(11월말) 등의 과정을 거쳐 혁신계획 수립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