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김재홍 제1차관과 중기청 한정화 청장은 21일 여의도에서 ‘13년 제1차 정책교류협의회’를 개최하고, 박근혜정부의 핵심 국정 아젠다인 ‘중소기업 성장 희망사다리 구축’ 등 국정과제 및 주요 정책과제 추진에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중소·중견기업 관련 정책정보 공유 및 정책연계 활성화를 위해 양 기관 담당부서(R&D, 무역, 동반성장 등)간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실·국장급 협의회를 수시로 운영키로 했다.
또한 상호 정책 이해를 높이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국장급 이하 인사교류 정례화 및 업무포탈시스템·메신저 연계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협의회는 산업부와 중기청이 중소·중견기업 육성을 위해 추진 중인 정책과제 이행에 필요한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합의했다.
첫째, 중소기업을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R&D 지원을 통한 기업의 역량 확충이 필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하고 기술개발, 인력양성 및 활용, 산학 협력, 지재권 관리(IP), 협력 네트워크 구축(Open Innovation) 등 중소기업의 R&D 역량 강화와 관련된 주요 장애요인과 쟁점을 파악하여 공동으로 해결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둘째, 2014년부터 R&D사업 시행계획 설명회를 공동으로 개최하여 R&D 수요자에게 다양한 사업정보를 제공한다.
셋째, 중소기업 지원사업별 이력정보, 경영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중소기업 통합관리시스템’ 구축과 관련, 산업부는 관리대상사업 선정, 사업이력·기업정보의 연계 등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넷째,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양 기관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기청은 18일 출범한 ‘산업혁신운동 3.0’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참여 중소기업에 중기청 사업을 연계 지원하기로 했다.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 사업, 중소기업기술전문가연계·과제해결 지원 사업은 절차 간소화, 뿌리기술 전문가 양성사업은 연수대상자 우선 선정, 정책자금 지원사업은 지원한도 확대(기존 수도권 45억원, 비수도권 50억원에서 70억원까지)한다.
산업부는 중기청이 지난 12일 발표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대책’ 실천과제 34개 중 협업과제 11개에 대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협조하기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난 5월 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시 추진키로 한 ‘중소기업 원스탑 수출지원 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하고 계속 협력키로 한다.
김재홍 차관과 한정화 청장은 “중소·중견기업 육성에 필요한 각종 지원 정책에 대해 양 기관이 공유하고 함께 고민하는 등 진정성 있는 소통으로 의미있는 정책성과가 도출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