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후퇴 이후 서울을 되찾기 위한 연합군의 ‘선더볼트작전’(Operation Thunderbolt, 치열하게 싸우다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6·25 전사자 41위에 대한 합동영결식이 오는 22일 오후 수원 시민회관에서 육군 수도군단장(중장 이순진) 주관으로 개최한다.
이날 영결식에는 염태영 수원시장을 비롯한 유관기관 및 단체장 등 200여명의 안보 및 보훈단체 회원과 유해발굴에 참여했던 장병 등 총 400여명이 참석하여 나라를 위해 하나뿐인 목숨을 바치신 선배 전우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추모했다.
지난 5월 광주지역에서의 개토식을 시작으로 10월 말까지 실시된 발굴사업에는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과 51.55사단 장병 등 연인원 8,000여명이 투입되었으며, 유해 41구와 전투화, 수통, 만년필 등 유품 338점을 발굴했다.
올해 발굴사업을 위해 군단에서는 지난 해 9월부터 올 5월까지 지역전사연구와 지역주민 제보지역에 대한 현장답사 등을 통해 안양, 의왕, 용인,광주,성남시등 5개 지역 9개소의 발굴지역을 선정했다.
이날 영결식은 호국영령에 대한 경례, 경과보고, 수도군단장 조사, 수원시장 추념사, 각 종파별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 조총 및 묵념, 유해운구 및 봉송 순으로 약 2시간여 동안 진행한다.
수도군단장은 조사(弔辭)에서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은 무한책임의 국가 사명이자, 후손된 자의 마땅한 책무이며,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국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애국심으로 발현되어 왔다는 것을 상기해보면 유해발굴 사업은 미래를 위한 호국 보험”이라고 전제한 뒤, “영광된 조국과 희망의 새시대 건설을 굳건한 안보로 뒷받침함으로써 세월이 지날수록 이 분들의 숭고한 헌신이 더욱 빛나고 값지도록 할 것“이라고 한다.
한편, 이날 영결식을 마친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중앙감식소로 옮겨져 유해 특징, 사망원인을 감식 기록하고, 정확한 신원확인을 위한 유전자 검사, 추출 등을 실시한 후, 올 12월 중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