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는 19일 최근 고유가, 원자재 가격급등으로 물가가 지속 상승 함에 따라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의 일환으로 기존에 운영중인 <강원물가정보망>을 최근의 물가여건 등을 고려하여 조사대상품목을 조정하고 물가안정모범업소와 업소별 가격비교 기능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개편하는 한편 물가상승단계에 따라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물가상승단계별로 기관별 자동대응책을 표준 지침화 하는 물가신호등제를 운영 할 계획이다.
도는 19일 시군관계자 및 물가모니터요원 90여명을 대상으로 개편내용에 대한 특별교육을 실시하고, 앞으로 물가정보망 개편을 계기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가격정보를 도민들에게 제공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강원물가정보망> 개편
최근 물가관리여건을 반영한 조사품목 개편필요성 대두
정부 52개관리 품목 포함 농축수산물 및 서비스 중심에서 공산품, 기타서비스 등 업종별 다양화 정보접근이 쉽고 활용도가 높은 컨텐츠를 강화 중대형마트 및 재래시장 가격비교 주유소별 유류가격 실시간 정보 제공 물가안정 모범업소 발굴 홍보 등이다.
대상품목 조정 : 농축수산물, 외식비 중심에서 - 업종다양화(120개품목)
집중관리 52개품목중 미포함된 30개품목을 비롯 공산품, 가공식품, 기타서비스 등 생활체감도가 높은 품목 48개품목을 추가하한다.
〈신규추가 주요품목〉 공산품 및 가공식품 : 밀가루, 빵,식용유,우유,세제,화장지 등이다. 유류 : 휘발유, 경유, LPG, 등유 공공요금 : 시내버스, 시외버스, 도시가스, 쓰레기봉투료 등 기타서비스 : 세탁료, 사진인화료, PC방이용료, 유선방송사용료, 학습지 등이다.
기존품목중 각 업종별 소비비중이 높은 품목은 지속 관리(72개품목)
〈지속관리 품목 〉 곡물류 : 쌀, 콩, 찹살 - 야채류 : 무,배추,양파, 파,감자, 풋고추 등이다. 과실류 : 사과,배,포도,귤 등 - 양념류 : 마늘,소금,참기름 등이다. 축산물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 음식료(25) 사교육비(4) - 숙박료(3) - 이미용료(3) - 기타서비스(4) 등이다.
기존품목(117개)중 타업종에 비해 구성비율이 높은 야채류, 과실류, 수산물 등 품목중 소비비중 상대적 낮은 일부품목 제외(45개품목) 등이다.
향후 강원물가정보망 활용계획 주1회 가격조사(수요일) 및 주간가격정보 제공 시군별 중대형유통업체 및 재래시장 가격비교 공개(주간) 시군별 물가안정 모범업소 적극 발굴 홍보 등 이다.
<물가신호등제>(물가상승단계별 상시대응체제) 운영
물가상승 정도에 따른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능력 제고를 위해 상승단계별로 기관별 대응책을 표준행동 지침화하여 적극 대응한다.
물가상승률을 단계별로 구분 물가정보망에 물가신호등 설치 청색경보 : 전년동월비 3.9%이하(금년 잠정 목표치) 황색경보 : 전년동월비 4.0%~4.5% 적색경보 : 전년동월비 4.6%이상 물가여건변동에 따라 경보별 기준상승률 조정
경보별(상승단계별) 도·시군 표준행동 지침 청색경보단계 : 평시관리, 주1회 조사, 월1회 점검 황색경보단계 : 주간단위 집중관리
지도점검 강화 : 주1회 조사 및 월 2회이상 지도점검 유관기관 네트워크 가동 : 유관기관단체 실무급 협의 및 합동점검 실시 물가안정 홍보 강화 : 캠페인, 기관장 협조서한, 언론, 소식지 이다.
적색경보단계 : 주간단위 집중관리 및 긴급대책 추진 도·시군별 긴급 특별대책마련 시행 집중적 지도점검 활동 : 주1회 정기조사 및 품목별담당자 수시조사 유관기관 네트워크 총력가동 기관단체장 대책회의, 기관단체별 역할부여 등이다. 적극적 가격감시활동 전개: 사업자단체 간담회, 업소별 가격비교 공개 등 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