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은 18일 오후 2시부터 충주시청 앞에서 전국에서 모인 2만 여명의 노동자와 시민사회단체 대표 및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김태환열사 살인만행 규탄 및 특수고용직 노동3권 쟁취를 위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했다.
이용득 위원장은 이번 김태환열사의 죽음은 정부의 전근대적이고 썩어빠진 정부 정책과 노동행정이 빚어낸 명백한 타살”이라며 “김태환열사 살해사건에 대한 즉각적인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권퇴진 투쟁도 불사할 것”이라고 엄중 경고했다.
또한 “비정규직을 확산시키는 개악안을 가지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며 국제무대에서 까지 거짓말을 하는 이 정권의 노동정책이 동지를 죽였다”고 규탄했다. 이위원장은 “김태환열사는 투쟁현장에서 살해된 최초의 노동운동가”라고 안타까워했다.
이날 대회에서 한국노총은 규탄사를 통해 “김태환열사 사망은 노동자성조차 인정하지 않고 4차례에 걸친 교섭에도 응하지 않은 채 용역깡패를 동원해 회사를 봉쇄하고, 노조가 파업중인데도 대체근로를 자행한 사측에 의한 살인행위이며, 노동부를 비롯한 정부 또한 특수고용노동자 문제를 방치한 측면에서 무한책임을 가진 주범중 하나”라고 규탄했다.
추모사에서 고인은 한국노총에서 가장 부지런하고 왕성한 활동을 전개했던 모범적 활동가였다”며 “고인의 뜻을 받들어 김태환동지가 그토록 갈망했던 비정규노동자 차별철폐, 특수고용직 노동3권 쟁취를 반드시 투쟁으로 이루고야 말겠다”고 밝혔을 때 집회에 참석한 노동자들은 눈시울을 붉혔다.
한국노총은 김태환 열사의 한을 풀고 투쟁정신을 이어나가는 길은 특수고용직 노동자들의 노동3권을 쟁취해 내는 것임을 각인하고, 이후 이 투쟁을 전국적, 전 사회적으로 확대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각종 참여단체들의 추모사 및 추모시 낭독과 함께 김태환 열사의 넋을 위로하기 위한 진혼굿 있을 예정이며, 고인의 유가족들이 참석했다.
유족대표는 평소 고인이 품어온 노동자에 대한 열정과 활동을 잘 알고 있다”며 생전의 고인 뜻을 이루기 위한 길에 유족들도 끝까지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시청 앞 노동자대회를 마친 후 충주경찰서 앞까지의 가두시위를 벌이고 충주 결찰서 앞에서 진상규명 및 책임자처벌을 요구하는 마무리집회를 갖고 실천투쟁을 전개했다.
한편, 이날 집회시작 직전인 오후 2시에는 한국노총, 민주노총, 전국민중연대, 민주노동당, 민변, 민가협, 유가협, 전국농민회총연맹,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등 70여개로 구성된 범노동시민사회단체 대책회의 가 기자회견을 갖고 김태환 열사 살인만행을 규탄”하는 한편 향후 범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하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특수고용직 노동3권 쟁취를위한 공동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