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는 23일 오후 2시부터 당진문예의전당에서 민종기 당진군수를 비롯한 기관단체장과 주민,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용웅 충발연 원장의 좌장으로 개최했다.
이날 주제는 임승빈 명지대학교 교수의 ‘당진군 시 승격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이어 조봉운 충발연 연구위원의 ‘당진군 도시재생을 위한 과제와 방향’에 대한 발표순으로 진행했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임승빈 교수는 “당진군이 시로 승격된다면 지역주민의 이미지 개선 등 상징적 효과도 큰 반면, 승격시 주민의 재산세 증가, 농어촌 대학특례 입학 대상 제외는 물론, 지자체의 행정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고 언급하면서 그동안 논의되었던 현행 지방자치법 제7조에 대한 점진적 개정과 함께 시 승격 및 명칭 변경에 대한 선택권을 지역민과 함께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두 번째 발표자인 조봉운 연구위원은 최근 당진군이 지구별로 이루어지는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으로 기존 도심의 쇠퇴와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가지 재생 사업을 본격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방청객의 높은 관심을 얻었다.
조 연구위원은 기존 당진읍 시가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연발생적 시가지가 형성된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예측하지 못한 기존도로의 협소로 차량통행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주차장 확보와 가로정비사업을 일부 추진하고 있으나 원천적 확폭이 불가능하여 근본적 해결에는 역부족이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공공시설이 하나둘씩 외곽으로 이전함에 따라 도심 유동인구의 감소, 녹지축의 훼손, 개발잠재력 기대에 따른 지가상승, 재래시장의 지속적 쇠퇴 등 도심경제가 지속적으로 침체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지방도시의 재생을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개선방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사회, 경제, 환경, 교육 등 종합적 도시재생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당진군은 대중교통 체계의 개편과 확충에 무게를 두어 도시재생을 추진해 녹색성장의 기조와 발을 맞추고, 공공기관 이전부지에 대한 창의적 활용 등 신규개발지와 기성 시가지 정비의 혼합방식으로 추진해야 하고, 특히, 신규개발지에 주거와 상업기능을 이주시키고, 기존시가지에는 재개발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여 개발하는 방식으로 지속성장을 촉진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토론에는 최수재 당진군의회의원과 차미숙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임준홍 충발연 책임연구원, 이준섭 당진시승격추진위원회 사무국장, 신기원 신성대학 복지행정과 교수, 박일수 당진군청 도시건축과장, 김영관 지역발전전략기획단장 등이 참석해 당진군 현안과제 해결을 위한 열띤 토론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