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김영일 연구위원과 정우혁 책임연구원은 충남리포트 256호에 가뭄 대비해 기존 수원 활용 이외 자체수원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연구원은 “현재 도의 생활 및 공업용수가 부족한건 아니지만 광역상수도 급수비율이 90.3%로 외부의존도가 매우 높고 시군별 자체 상수원이 적어 비상시 안정적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도내 광역상수원인 보령댐을 제외하고 대청댐과 용담댐이 도 밖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재해 예방을 위해 집중형 상수원을 분산형 상수원으로 변화시켜가야 한다는 의미다.
지난 2015년 42년만의 가뭄으로 인해 보령댐을 상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충남 서북부 8개 시·군에 제한급수를 실시하는 등 큰 차질이 발생한 바 있고 최근에도 보령댐 물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진은 “자체 정수시설을 가지고 있는 공주시와 예산군은 지방상수도 급수비율이 50%를 상회한 반면, 나머지 자치단체들은 지방상수도 급수비율이 매우 낮다”며 “자치단체의 수자원 활용 여건을 고려하여 기존에 활용하였던 수원(하천 복류수 또는 저수지)을 복원하는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현재 도는 각 시군별 자체 수원 확보를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며 “향후 생활 및 공업용수 부족량 확충 사업을 추진하게 되면 2025년에도 생활 및 공업용수가 부족한 시·군은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내다봤다.
이는 가뭄 등 비상사태로 인한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각 시군별 2025년 용수수요량의 25%를 여분의 용수목표량으로 설정하고 이 용수목표량을 확보하기 위한 자체수원 마련 원칙을 도입하는 개념이다.
이에 연구진은 도내 물 부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치단체의 기존 수원 복원은 물론 기존 및 신설 농업용 저수지 용수 활용 지하수 관정 및 민방위급수시설 활용 관로연계를 통한 인근 자치단체 여유수량 활용 광역상수도 이원화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