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보성소방서 도양119안전센터 김경일
심근경색이란
심장으로 가는 혈액 공급원인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힘으로서 심장이 충분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지 못해 심장근육이 죽어가는 심각한 급성질환으로, 한국인의 사망원인중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질병중 하나이다.
주로 혈관벽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발생하는데, 이로인해 갑자기 심장이 멈추기도 하고 심장근육의 손상이 광범위 하게 발생하여 무엇보다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심근경색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뼈(흉골)의 바로 안쪽에서 쥐어짜는 듯한 흉통이 느껴지며 그 통증은 약30분 이상 지속된다.
심근경색증에 걸리면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경우가 약 30%가 넘는다. 사망위험률은 심장발작 2시간 내에 가장 높다한다. 따라서 가슴 통증이 시작될때나, 협심증이 있는 사람에게서 흉통이 계속 될 때는 가능한 한 빨리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보건복지부에 다르면 심근경색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는 시간이 10분이 늦어지면 사망률이 25%가 증가한다고 한다. 그만큼 발병 후 얼마나 신속히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지가 생명을 구하느냐 마느냐를 결정한다.
심근경색의 원인으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당뇨 등이 있다. 또한 나이가 많아질수록, 여자보다 남자가, 유전력 높은 경우 일수록 심장발작에 걸리 가능성이 높기에 금연은 물론, 혈압, 당뇨를 조절하는 것이 위험인자를 줄일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궁극적 치료 방법으로는 막힌 심장의 혈관을 개통 시켜서 심근에 혈액이 통하게 하는 것이다. 즉 혈전을 녹이든가 압력을 가해서 좁아진 관상동맥을 넓히는 수술적 치료법이다.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발병부터 치료 개시까지 걸린 시간이 많이 지체될수록 예후와 사망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119 구급대의 도움 요청과 병원치료를 받아야 소생률을 높일 수 있으며, 매일 적절한 운동과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심근경색을 예방하는것이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