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소방서 일로119안전센터 김경일 최근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인해 산불의 위험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산불은 대게 강풍을 타고 빠른 속도로 번지기 때문에 대피를 자칫 잘못 했다가는 큰 화를 입을 수 도 있으며 통계에 따르면 산불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478건이 발생해 1161ha의 피해가 발생했다. 전체 피해면적의 91%(1053ha)는 봄철(3-5월)에 집중 발생(296건)했고, 특히나 4월에는 145건(30%)의 산불로 산림 841㏊(72%)가 소실됐다.
무엇보다 예방과 주의가 필요한 산불, 하지만 발생했을 때 피해를 줄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위험한 산불, 산불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 산불 발견 시 119, 112, 시 · 군 · 구청으로 신고합시다.
- 초기의 작은 산불을 진화하고자 할 경우,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합시다.
-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산되므로 풍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납시다.
불길에 휩싸인 경우에는 이렇게 하세요.
-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주위를 살펴본 다음 불길이 가장 약한 곳(나무가 적게 서 있는 곳, 암석지대 개울, 움푹파인 곳, 연료가 이미 타버린 곳 등)으로 대피 합니다.
- 대피할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에는 낙엽, 마른나무 등 연료가 적게 쌓인 곳을골라 낙엽 등을 긁어 낸 후 방연마스크 또는 방염텐트를 사용하거나 손, 얼굴 등을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는다.
산불진화에 참여할 때 이렇게 하세요.
- 산림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평소 산불진화를 위한 간이 진화도구(삽, 톱, 갈고리 등)와 안전장구(긴 팔 면직옷, 안전모, 안전화)를 준비합시다.
- 산불 진화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가까운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건강한 젊은 분들은 자율적으로 진화활동에 참여합시다.
- 산불진화에 참여할 경우 현장대책본부의 안내를 받아서 조직적으로 진화활동을 수행합시다.
이처럼 몇가지 안전상식만 알고 있어도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며, 소중한 인명을 지킬 수 있도록 우리모두 산불예방에 주의하며 건강한 삶을 영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