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소방서 홍교119안전센터 지방소방장 양희만
최근 기온이 오르면서 전국 곳곳에 산불화재 등 대형 화재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화재는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봄철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실효습도가 50%이하로 떨어지는 일수가 많고 바람도 강하고 불어 조그마한 불씨라도 삽시간에 큰 불로 확대될 수 있는 위험한 연소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연소조건과 더불어 화창한 봄 날씨로 인해 사람들의 긴장이 해이되면서 화기취급상의 부주의, 태만, 관리소홀이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행락철을 맞아 산이나 야외로의 나들이 기회가 많아지는데 이때 함부로 버린 담뱃불이나 불법 취사행위, 어린이들의 불장난으로 인하여 산림화재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일단 발화한 불은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삽시간에 대형화재로 번진다.
봄철산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봄철화재의 취약대상을 파악하여 집중적인 방화관리와 지도로 화재발생 위험요소를 제거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논두렁이나 밭두렁, 기타 농산폐기물을 소각할 때에는 바람이 없는 날을 택하여야하고 주의와 감시를 철저히 해야 한다. 입산 시 화재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라이터 등 화기는 절대로 가지고 입산해서는 안 된다. 또한 어린이들의 불장난을 예방하기 위하여 성냥이나 라이터 등 불을 일으킬 수 있는 물건들은 어린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화재에 대한 경각심과 조금의 예방 노력을 가진다면 산불 등 대형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