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오는 17일 한라산, 인문학의 가치를 논하다' 학술심포지엄
한국디지털뉴스 우명호 기자 = 세계자연유산 한라산의 인문학적 가치를 발굴하고 보존방안을 모색하는 학술심포지엄이 오는 17일 오후2시 한라수목원 제주자연생태학습관 시청각실서 개최된다. 한라산, 인문학의 가치를 논하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심포지엄은 한라산 인문학 연구의 발자취를 재조명하고, 가치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써 도내외 인문학 전문가들이 모여 주제발표 및 토론을 진행할 계획이다. 제1부 주제발표는 한라산 인문학 연구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시간으로, 제주대 사범대학 오상학 교수는 조선시대 한라산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자료와 함께 역사 속 한라산의 인식 변화를 소개하며 고지도나 그림에 미친 영향에 대해 발표한다.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원 최원석 교수는 조선시대 명산문화의 전개와 의의 등을 주제로 한라산과 지리산의 명산 문화를 비교분석해 특징을 소개한다.
제2부는 한라산 인문학 연구의 방향성을 고민하는 자리로, 제주대 철학과 김치완 교수는 한라산을 대표로 하는 제주의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에 대한 철학적인 검토 발표한다.
순천대 지리산권문화연구원 박찬모 교수는 한라산 인문학 연구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현재 지리산의 인문학 구축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설명한다.
고윤정 연구원은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에서 지금까지 추진해온 한라산 조사연구의 성과를 소개하며 향후 한라산 인문학 및 역사·문화적 자원조사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할 계획이다.
이후 마련된 지정토론에서는 (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 강만생 원장, 제주대 정광중 교수, 제주학연구센터 박찬식 박사, (사)제주민예총의 강정효 이사장이 함께 ‘한라산 인문학 연구, 어떻게 추진해야 할지’에 대한 제언과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는 한라산을 연구해 온 제주도의 대표적인 연구기관인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의 그동안 자연 과학적 측면에서 논의된 것과는 다른 차원의 학술적 시도로써, 한라산 인문학의 가치를 논하고 토론하는 자리를 통해 한라산 보호관리 방안을 새롭게 도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