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적인 현장조사조차 무시한 채 밀어붙이기식 공사로 진행되는 4대강 사업
강기갑 의원,4대강 사업 전면 중단하고, 전반적인 조사 실시해야

4대강 사업 구역인 경남 창녕「낙동강 19공구」하천에 골재채취용 임시도로가 기준 이하의 건축폐기물로 만들어지고, 이 마저 사용 후 해당 지자체와 기관의 관리 감독 하에 철거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방치되어 있음이 확인했다.
강기갑 의원은 경남 창녕 해당 공사 구역을 찾았으나 뻘이 질어 포크레인이 들어가지 못하자 직접 삽을 들고 이러한 사실 확인을 하였으며, 결국 폐아스콘 폐콘크리트가 묻혀 있음을 밝혀냈다고 5일 밝혔다.
4대강 사업을 관리 감독해야 할 부산국토관리청은 전혀 모르는 내용이라 발뺌하고, 건설폐기물로 만든 임시도로가 버젓이 하천부지에 남아 있는 데에도 경남지역 식수원인 낙동강을 관리해야 할 수자원공사도 책임을 회피하고, 해당 지자체인 창녕군 또한 이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4대강을 정비하고자 한다면 하천 주변의 오염물질 제거와 함께 공사로 인한 하천오염에 신경을 써야하는데, 이를 오히려 걸림돌로 여겨 덮어두고 가려는 의도라고밖에 볼 수 없다.
강기갑 의원실에 들어온 제보에 따르면, 이번에 확인한「낙동강 19공구」이외에도「낙동강 18공구」등 두 곳 이상이 이러한 폐기물로 덮여있다고 한다. 만약 이것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며칠 전 경남 김해 상동면「낙동강 8-9」준설지에서 대량의 폐기물이 발견된 것과 더불어 정부의 4대강 사업이 실제로는 기초적인 현장조사조차 무시한 채 진행된 ‘4대강 죽이기’사업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다.
4대강 사업을 통해 홍수예방과 수질개선, 생태하천을 만들겠다던 MB정부의 4대강 살리기가 실제로는 밀어붙이기식 공사 진행과 속도전 양상을 띠고 있다. 정부는 4대강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이와 관련한 전반적인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