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단기 중기 장기별 12개 과제 선정해 대책 마련
창원시는 27일 40년 산업단지의 노후화와 글로벌 경기 부진에 따른 경기침체로 전반적인 활력이 저하되고 있는 창원국가산업단지의 입지경쟁력 강화를 위해 ‘창원국가산단 입주기업 역외이전 방지 대책’ 마련에 발 벗고 나섰다.

제4차 산업혁명, 뉴 노멀, 제조업 메가트렌드 등 새로운 패러다임변화에 발맞춰 창원국가산업단지가 국·내외적으로 경쟁력 있는 글로벌 혁신산업단지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의 계기가 됐다.
시는 2014년부터 3년간 이전·매각·폐업 기업체 추출, 이전계획 기업 설문조사 자료, 인근 시군 산업단지조성 현황 등을 바탕으로 단기·중기·장기별 입주기업 역외이전 방지 대책을 마련했다. 단기대책으로는 높은 지가로 인한 투자유치 난항에 따른 기존 자금지원제도 재정비 기업형 TLO(technology licensing office)* 육성으로 중소기업 대상 산업고도화 지원시스템 구축 기존 입주기업 대상 분양가점제 검토 유치업종 다변화로 미래먹거리 사업 전개 방안을 제시했다.
대학이나 연구소 등이 보유한 기술의 특허를 기업에 판매하여 수익을 올리는 기관 중기대책에는 시 투자유치 활동 및 기업현장 지원을 위한 기업지원 전문가그룹 구성 전문적이고 다양한 시책 발굴을 위한 유관기관 연계협력 싱크탱크 운영 대기업 관외 협력업체 유치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및 상시 인력공급 체계 운영으로 산단 내 수요인력이 적재적소에 공급가능한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창원 INBEC 20 전략산업과 산단 내 첨단업종 기업과의 연계사업 주거·문화·교통 근로자 정주여건 인프라 확충 입지정책 차등화 검토 동남권 미니클러스터와의 협업과제 발굴 등을 장기대책 방안으로 제시했다.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역혁신주체가 참여해 상호 협력하는 산단공만의 특화조직 시는 향후 대책방안 추진을 위해 실무자 회의 및 간담회 개최 등 충분한 사전 검토를 거쳐 적법한 절차에 따라 추진되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송성재 창원시 경제국장은 “입주기업의 애로·고충사항 및 불합리한 규제 등을 발굴해 적극 해소하는 등 입주기업체와의 소통을 강화하여 기업투자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