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뉴스 정창섭 기자=허성무 창원시장는 3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내버스 파업 사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인 ‘창원형 버스 준공영제’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허성무 창원시장이 창원형 버스 준공영제’ 도입 계획을 발표
허 시장은 시내버스 파업은 종료되었지만, 시 대중교통체계의 대혁신은 지금부터 시작이다.”라며 창원형 버스 준공영제 도입의 시급성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내버스 재정지원형 민영제는 수익노선의 막대한 수입은 버스회사가 가져가고, 비수익노선에 대한 적자는 시민의 세금으로 충당해 오는 불합리한 제도였다. 시는 작년 한해 시내버스 운행에 들어간 예산 664억원을 비롯해 매년 수백억원의 혈세를 투입해왔다.
하지만 지원하는 금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반해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은 전혀 개선 되지 않았다. 실제로 불친절, 무정차, 난폭운전, 불규칙 배차, 환승 불편 등 시내버스 이용에 대한 시민불편 민원은 올해 상반기에만 2,200여건에 달하고, 시정만족도 여론조사 결과 역시 대중교통 개선에 대한 의견이 매년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시는 지금과 같은 재정지원형 민영제로는 시민들이 원하는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고 보고, 대중교통 체계 대혁신을 위한 ‘창원형 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을 밝혔다.
첫 단계가 올해부터 시행하는 ‘통합산정제’이다. 통합산정제는 수익·비수익 노선 구분없이 버스업체가 운행하는 전체 노선의 손익을 합산하고, 발생되는 손실 전액 보전과 적정이윤까지도 보장해주는 합리적인 시스템이다.
시는 재정지원 합리화를 위한 ‘통합산정제’ 와 ‘비효율적 버스노선 개편’을 ‘창원형 버스 준공영제’로 가기 위한 핵심적인 선결과제로 보고 속도감을 더하기로 했다.
허 시장은 “창원형 버스 준공영제의 효과는 우선, 통합산정제를 정착시켜 보다 합리적인 재정지원 체계로 개선해 버스 서비스 개선 등에 재정 투입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시민의 생활 동선에 맞춘 효율적 노선 개편과 함께 시내버스 정시성과 정속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BRT, 트램 등 신교통 수단과 연계해 대중교통 수준을 현격히 업그레이드하고, 별도의 독립 기구를 구성해 수입금을 관리하면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여 재원의 공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시는 창원형 버스 준공영제 추진위원회와 별도로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진지하게 논의하고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