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외압 비난하던 MBC노조 기자회견선 박근혜가 약속 깨 외압 찬성 돌변
MBC노조가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김재철 사장 퇴진을 약속했었다며 비난하고 나섰다. [뉴스파인더]지난 6월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 이상돈 위원으로부터 ‘先 복귀, 後 사장 퇴진’이란 박 후보의 약속을 전달받았다는 것이다. MBC 노조에 따르면 지난 6월 20일 박 후보는 "노조 주장에 공감하는 점이 있다. 노조가 먼저 파업을 풀고 당면한 올림픽 방송준비에 매진하고 또한 모든 프로그램의 정상화에 돌입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복귀하고 나면 모든 문제는 순리대로 풀리게 하겠다"고 밝혔다고 한다.
이에 노조는 박 후보측에 "MBC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여야 원내대표 수준의 합의가 보장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틀 뒤인 6월 22일 박후보는 기자들 앞에서 "MBC노사가 서로 대화로서 슬기롭게 잘 풀었으면 좋겠다. 파업이 징계사태까지 간 건 참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이 날 박 대표의 발언에 대해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했다. MBC노조에 따르면 같은 날 이상돈 위원은 “노조가 명분을 걸고 들어오면 나중 일은 제가 책임지겠다. 그렇게 하면 당을 움직일 수 있고 당을 설득하겠다”는 박 후보의 의사를 MBC노조측에 다시 전달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와 같이 박 후보가 MBC사태 해결을 언급하고 방통위 상임위원들의 합의 등을 이유로 지난 7월 파업을 중단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상돈 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파업 사태를 걱정하는 MBC 중견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돌파구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어서 내가 메신저 역할을 한 것은 맞다"며 "당시 박 후보의 입장은 노조가 먼저 복귀를 하고 경영정상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은 "그 결과 여야 원내대표 협상에서 노조가 먼저 복귀하고 새 방문진 이사진이 들어오면 경영평가 등 모든 것을 논의한다'는 합의가 이뤄졌다"며 "박 후보의 입장은 방문진 이사진이 알아서 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지 그 문제를 책임지겠다는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노조의 기자회견은 아전인수식 이중잣대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 사장 해임안이 부결된 이유가 정부여당의 외압 탓이라고 비난한 노조가 원래 정부여당측이 외압을 넣어 김 사장을 강제 퇴진시키기로 약속했었다며 ‘외압’을 환영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MBC 사장 임면권을 가진 방문진의 부결 결정을 비난할 때는 ‘정치외압’ 논리로 공격하다가 사장 임면권과 전혀 무관한 여당 대선후보가 약속을 파기했다고 공격하는 것은 지나치게 궁색한 논리가 아니냐는 것이다. 박한명 폴리뷰 편집국장은 “MBC 노조가 겉으로는 정치중립, 공정언론을 떠들면서 장막 뒤에선 정치권을 들쑤셔 정치적으로 김 사장의 목을 칠 궁리를 해왔다는 사실을 스스로 고백한 기자회견”이라며 “이 기자회견으로 노조의 파업이 불법정치파업이라는 사실도 증명이 됐다. 집단이기주의로 똘똘 뭉친 준정치꾼 노조의 파업으로 우롱당한 시청자와 국민이 입은 피해가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MBC를 정치로부터 떼 낼 민영화의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사실을 알려준 기자회견”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