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주 소득자 사망·가정폭력 등 사유 땐 생계·주거·의료비 긴급 지원
남부러울 것 없이 살았다. 하지만 사업을 하던 남편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모든 것이 달라졌다. 이정경(가명) 씨에게 남은 건 남편이 남긴 빚과 두 아이. 아파트를 팔고 빚부터 갚았다. 남은 건 월세 보증금 1천만원과 은행 잔고 200만원뿐이었다. 어디서부터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다. 그러다 지인의 소개로 긴급복지 서비스를 신청했다. 생각지도 못했는데 구청에서 월 70만원 정도의 생계비와 월세(30만원)를 지원해 줬다. 해서는 안 될 생각까지 했던 이씨에겐 한줄기 빛과 같은 도움이었다.
긴급복지 서비스 살다 보면 평안한 일상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위기를 겪을 수 있다. 이럴 때를 대비해 정부가 지원하는 게 긴급복지 서비스다.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 유지가 곤란한 국민에게 생계·의료·주거·교육·연료비 등을 지원해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위기로 판단할 만한 상황 요건을 갖추고 소득 요건, 금융재산 기준 등에 부합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주 소득자의 사망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중한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당한 경우 등이 포함된다. 시·군·구청 및 보건복지콜센터 129 상담을 통해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치매 무료 검진·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평소엔 다양한 지역사회서비스의 혜택을 받아 보자. 육아나 건강관리 등 유형별로 유용한 서비스가 많다. 전국 가구 월평균소득보다 소득이 적은 가구(지역별·사업별 기준이 각각 다름)라면 누구든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특히 치매 무료 검진과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사업은 꼭 이용해 볼 만하다. 만 60세 이상이면 누구나 보건소에서 간단한 치매 검사를 받은 후 이상 발견 시 협약병원에서 무료로 정밀검진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매 판정을 받으면 월 3만원 한도 내에서 치매 치료관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장애인 운전지원센터 장애인을 위한 복지 서비스도 더욱 탄탄해졌다. 도로교통공단은 올해부터 장애인 운전지원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사회적 교통약자인 중증 장애인의 운전면허 취득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한 곳이다. 부산 남부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전남·대전·대구·용인 등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센터별로 중증 장애인 연습용 차량을 확보하고, 2명의 운전 강사와 1명의 작업치료사를 둬 장애인들이 운전면허를 더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장애인 대학생 도우미 지원 교육부가 2005년부터 장애인 대학생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다. 장애인 대학생에게 ‘맞춤형 캠퍼스 도우미’(2,500명)를 지원해 수업청취, 등·하교 등을 돕는 방식이다.
장애 학생의 교내 이동과 대필 등을 돕는 ‘일반 도우미’와 중증장애 학생을 위해 수화 통역이나 속기 등을 지원하는 ‘전문 도우미’, 청각장애 학생을 위해 원격 시스템을 통해 수화 및 문자 통역을 하는 ‘원격교육지원 도우미’ 등으로 나뉜다. 원격 도우미는 강의를 듣는 학생이 노트북으로 강의 영상을 전송하면 국립특수교육원 서버를 통해 이를 받아 수화나 자막을 넣어 실시간으로 통역해 주는 서비스다.
원칙적으로 대학에 재학하는 중증장애(1-3급) 학생이 대상이지만 4~6급 장애 대학생도 대학의 자체 심의를 거쳐 지원받을 수 있다. 각 학교의 장애학생 지원센터 또는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